한국소비자원이 실손의료보험 보유계약 건수 기준 상위 5개 손해보험사의 소비자 만족도·이용행태를 조사했다고 21일 밝혔다.
실손의료보험은 국민건강보험에서 보장하지 않는 의료비를 보장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국민건강보험 가입자의 78%가 가입하고 있는 보험상품이다.
DB손해보험, KB손해보험, 메리츠화재, 삼성화재, 현대해상 등 5개 보험사 가입자 가운데 1년 이내 보험금 청구 경험이 있는 가입자 1500명을 조사한 결과 37.5%(562명)는 병원 진료 후 받을 수 있는 보험금을 포기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포기 사유로는 '받을 수 있는 보험금이 소액이어서'가 80.1%(450명)로 가장 많았고 '귀찮거나 바빠서' 35.9%(202명), '보장대상 여부가 모호해서' 13.9%(78명) 등 순이었다.
최근 1년 내 소액 보험금 청구 포기 경험자는 410명이었으며 포기 횟수는 평균 2.9회, 포기 보험금은 평균 1만3489원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가운데 1~3세대 실손보험에 가입했지만 4세대로 전환하지 않은 소비자는 1310명이었으며 53.4%(700명)는 본인이 가입한 보험사의 보험계약 전환제도를 모르고 있었다.
나머지 610명은 전환제도를 알지만 변경하지 않았고 28.5%가 '전환 유불리를 잘 몰라서' 전환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조사대상 소비자의 19.5%는 실손보험 이용 가운데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으며 피해 유형은 보험금 과소지급이 34.1%로 가장 많았고 갱신보험료 과다(27.0%), 보험금 지급 지연(25.9%) 순이었다.
보험료 납부와 보험금 지급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보험료 수준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소비자의 합리적인 선택을 위해 국민 다소비, 신규 관심 서비스 분야의 비교정보를 생산하고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서비스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