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테슬라·기아·포드·지엠 등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7개 차종 10만3543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에 들어간다고 21일 밝혔다.
테슬라코리아의 모델 Y등 4개 차종 6만6489대는 후드 소프트웨어 오류로 주행 중 운전자가 후드 열림 상태를 감지하지 못해 안전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돼 22일부터 리콜에 들어간다.
기아 프라이드 3만6351대는 전자제어유압장치(HECU) 내구성 부족에 따라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지난 19일부터 리콜을 진행하고 있다.
포드 MKX 402대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품 내구성 부족에 따라 제동거리가 길어질 수 있어 22일부터 리콜한다.
지엠아시아퍼시픽의 캐딜라 리릭 301대는 전자식 브레이크 제어 장치(EBCM) 소프트웨어 오류로 특정 조건에서 제동거리가 길어질 가능성으로 23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국토부 관계자는 "리콜 대상 여부와 구체적 결함 사항은 리콜센터에서 차량번호와 차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벤츠 이어 테슬라 전기차도 '폭발' … 슈퍼카도 안심못한다
- '주가 31% 하락' 테슬라, 직원 1만4000명 해고한다
- 현대·테슬라 등 12개 차종서 '결함' 발견 … 전기차 역대 최대 리콜
- 현대·기아·테슬라 등 6개사 제작결함 … 5만대 리콜
- 테슬라·현대 등 6개사 13개 차종 '안전결함' … 7만대 리콜
- 정부 '리콜 불응' 전기차 페널티 검토 … "충전시설 지상화 신중 접근"
- BMW 미니쿠퍼 배터리 '안전결함' 15만대 리콜
- 벤츠 2019년 이후 '리콜 1위' 소비자 불안 가중
- 현대·기아 등 10개 차종 자발적 시정조치
- 테슬라 '제조물배상책임보험' 가입 안했다
- 현대·벤츠 등 19만대 '안전결함' 리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