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현대자동차 △메르세데스 벤츠 △비엠더블유(BMW)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에서 제작이나 수입·판매한 33개 차종 18만9797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리콜(자발적 시정조치)을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현대차 그랜드스타렉스와 G70 등 8개 차종 17만5674대는 전자제어유압장치(HECU) 내구성 부족과 고압연료펌프 압력 조절 부품의 내구성 부족 등 화재 가능성과 주행 도중 차량이 멈출 가능성으로 25일과 31일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벤츠의 Mercedes-AMG GT 43 4MATIC+ 등 5개 차종 5706대는 변속기 배선 커넥터 설계 오류로 화재 가능성, GLE 300d 4MATIC 등 5개 차종 4748대는 차량 너비가 안전기준을 초과해 23일부터 시정조치를 진행 중이다.
BMW의 530i xDrive 등 14개 차종 2450대는 조향축의 유니버설 조인트 내구성 부족으로 안전 문제 발생 우려가 있어 22일부터 시정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포드의 노틸러스 1219대는 도어 제어 소프트웨어 오류로 특정 조건에서 창유리의 끼임 방지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18일부터 시정조치를 시작했다.
한편 내 차의 리콜 대상 여부와 구체적인 결함 사항은 자동차리콜센터에서 차량번호와 차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다.
손예림 기자
yelims930@gmail.com
관련기사
- 벤츠 '안전기준 위반' 과징금 1위 '302억'
- 테슬라 '제조물배상책임보험' 가입 안했다
- 현대차 넥쏘 '수소누출' 위험, 리콜 조치 미흡
- 인천 폭발사고 '벤츠 전기차' 차주 집단소송
- 현대·기아 등 10개 차종 자발적 시정조치
- 벤츠 2019년 이후 '리콜 1위' 소비자 불안 가중
- BMW 미니쿠퍼 배터리 '안전결함' 15만대 리콜
- 테슬라·기아 등 4개사 7개 차종 '안전결함' ··· 10만대 리콜
- 벤츠 "전기차 화재 중국산 배터리 계속 사용"
- 현대차 외산차에 비해 '부식률' 3배 높다
- 현대차 울산공장서 연구원 3명 '질식사'
- 현대·벤츠 등 29만대 '또' 안전결함 리콜
- 자동차시민연합 "리콜 이행여부 보험 갱신 때 확인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