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생명윤리와 안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를 개정했다.
복지부는 일부개정을 통해 배아·태아를 대상으로 유전자검사를 할 수 있는 질환 지정 절차를 개선했다고 23일 밝혔다.
복지부는 유전질환이 있는 가계의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 정기적·공식적인 유전질환 검토 절차 마련을 추진하게 됐다.
시행령 개정 이후부턴 상설 자문위원회의 분기·반기별 검토를 거쳐 추가 질환이 선정되면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 공고된다.
복지부는 2009년부터 올해까지 7차례의 고시 개정을 통해 배아·태아를 대상으로 유전자검사를 할 수 있는 유전질환을 63개에서 218개로 확대했다.
정통령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유전질환이 있는 가계의 안전한 출산을 지원하고자 제도 개선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이기륜 기자
leekilyun@safetimes.co.kr
관련기사
- 소비자가 직접 검사 의뢰하는 '유전자검사기관' 14곳으로 확대
- 복지부, 유전자검사 신고 절차 개선 '생명윤리법' 시행규칙 개정 예고
- 복지부 '치매안심마을 우수선도사업' 48개 선정
- 약국에서 '위기임산부 비밀상담 1308' 확인하세요
- 복지부 AI 신약 개발 경진대회 'JUMP AI' 개최
- 17일부터 어린이집·유치원·초중고 30m 이내 금연구역
- 6년 의대 교육 후 바로 개원 못한다 … 정부 '진료면허' 추진
- '저출산 극복' 제정 규정 폐지 난임시술 25회 지원
- 복지부, 안전한 의약품 'GTH-B' 본격화
- 제주도 '재난의료 대응' 훈련 최우수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