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22일 분당서울대병원과 이대목동병원을 '표준 선도병원'으로 지정했다.
복지부는 데이터·인공지능(AI) 환경에 맞춰 보건의료 정보의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교류 시 핵심이 되는 항목과 용어 표준·전송 규격을 규정하는 보건의료데이터 표준체계를 마련했다.
새로운 보건의료데이터 표준체계를 현장에서 적용·확산하기 위해 분당서울대병원과 이대목동병원을 선도병원을 지정했다.
두 병원은 실제 진료 현장에서 데이터 표준에 기반한 규격과 기술에 따라 교류를 진행하고, 현장에 기반한 개선 방안을 도출해 데이터 표준의 실효성을 높여간다.
고형우 첨단의료지원관은 "표준 선도병원 지정을 계기로 상호운용성에 기반한 데이터 표준이 확산되고 환자들이 표준화된 데이터를 손쉽게 주고받을 수 있는 여건이 확충됐다"고 말했다.
이어 "보건의료 데이터 표준을 확산해 국민들의 의료이용 편의와 효율이 향상되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미영 기자
odongkim@safetimes.co.kr
관련기사
- 소비자가 직접 검사 의뢰하는 '유전자검사기관' 14곳으로 확대
- 복지부-SK하이닉스, 치매·발달장애인 '배회감지기 무상보급' 협약
- '복지위기 알림 앱'으로 위기 이웃 도움 요청하세요
- 복지부, 혁신형 제약기업 24곳 인증 '연장'
- 복지부, 필수의료 중점 투자 원칙 본격 검토 … "수가 구조 개편"
- 복지부, 장기요양기관 건전성 제고 위한 '기획 현지조사' 실시
- 분당서울대병원 카카오톡으로 병원 예약하는 '케어챗' 오픈
- 신한은행 분당서울대병원과 '유산기부' 체결
- 아주대·이대목동병원도 응급실 진료 축소 … 수도권으로 확산
- 분당서울대병원 '센터 오브 엑설런스' 선정
- 분당서울대병원, 미래연구센터 '제4회 공동연구회' 개최
- 복지부·서울시 '바이오 스타트업' 연구개발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