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주권 분석, 안전경영 선포식 후 1년도 안돼 사망 사고
회장과 대표이사 잇단 구속 경영위기, 문제 해결방안 찾아야

▲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SPC 그룹의 산업재해 실태 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며 개선방안을 촉구했다. ⓒ 세이프타임즈
▲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SPC 그룹의 산업재해 실태 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며 개선방안을 촉구했다. ⓒ 세이프타임즈

지난해 8월 SPC그룹 샤니 제빵공장에서 근로자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연이은 안전사고로 안전경영 선포식을 개최한 지 일 년도 되지 않았을 무렵이다.

지난 4월에는 SPC 허영인 회장과 황재복 대표이사가 노조탈퇴강요 혐의로 구속되며 그룹은 경영상 최대위기를 직면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24일 SPC의 경영난 속 잇따른 근로자 안전사고 등 문제 해결을 위한 개선방안을 촉구했다.

▲ SPC그룹의 근로자 안전사고 주요현황.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 SPC그룹의 근로자 안전사고 주요현황.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2017년 파리크라상에서 있었던 절단사고부터 2023년 샤니 제빵공장 사망사고까지 SPC의 근로자 주요 안전사고는 사망사고 2건, 절단사고 5건에 이른다.

SPC는 2022년 10월 소스 혼합기에 노동자 상반신 끼임 사망사고 이후 지난해 1월 '안전경영 선포식'을 개최했다.

선포식에서는 △근로자 안전관리 최우선 가치 선정 △고용노동부 감독 결과 반영 △외부 전문기관 점검 실시 △안전경영위원회 중심 행복한 근무환경 만들기 등 '뉴 SPC'가 될 것을 약속했다

그런데 SPC가 안전경영을 선포한 지 채 1년도 되지 않아 샤니 제빵공장에서 근로자 사망사고 발생했다.

▲ SPC그룹 주요 계열사 산업재해자 수 현황.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 SPC그룹 주요 계열사 산업재해자 수 현황.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최근 5년간 SPC그룹의 주요 4개 계열사(파리크라상, PB파트너즈, 비알코리아, SPL)의 산업재해자 수는 PB파트너즈가 308명, 파리크라상 128명, SPL 37명, 비알코리아 29명이다.

연도별로는 2017년 4명, 2018년 69명, 2019년 100명, 2020년 110명, 2021년 120명, 2022년 99명으로 2018년 급격히 증가해 2019년부터 100명 내외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PC의 최근 5년 월평균 산업재해 수는 7.3명이다. 2022년 통계 기준이 9월까지인 것을 고려하면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식품 제조 기업인 SPC의 산재율은 근로 환경상 산재 발생이 많을 수밖에 없는 건설·배송업과 비교해도 재해 빈도가 상당한 편이다.

전문가 소견에 따르면 SPC 작업장의 빈번한 안전사고의 원인은 2인 1조 근무가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은 점이다. SPC 공장 라인에는 통상 2명씩 근무하지만 모든 작업을 2명이 함께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는 않다.

▲ SPC그룹의 안전관리 강화방안 주요내용.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 SPC그룹의 안전관리 강화방안 주요내용.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SPC그룹 13개 계열사가 2018년부터 지난해 8월까지 납부한 산업안전보건 규정 위반 과태료는 6억3500만원이다. 기업이 안전 규정 미준수로 지불한 과태료로는 이례적 규모다.

고용노동부가 2022년 10월 28일부터 11월 25일까지 SPC그룹 내 12개 계열사 52곳 사업장을 대상으로 산업안전 관련 기획 감독을 시행한 결과 조사 대상의 86.5%에 달하는 45곳에서 277건의 법 위반사항이 확인됐다.

▲ 국회의 SPC그룹 안전관리에 대한 평가.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 국회의 SPC그룹 안전관리에 대한 평가.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안전투자 단축집행 관련) 미리 계획된 투자 예산을 끌어모아 안전에 대한 투자라고 포장하는 의심이 든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지난해 12월 1일 열린 SPC 산업재해 관련 청문회에서 SPC 안전관리 강화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며 그룹 측에 구체적인 자료를 요청했다.

위원회는 이날 개선되지 않은 2교대 장시간 노동과 안전설비 미흡을 지적하며 2교대 근무 개선에 대한 약속과 실효성 있는 대책을 요청했다.

허영인 회장은 이에 대해 "대주주로써 각 계열사 대표와 노조와 상의해서 좋은 의견이 나오면 따르겠다"고 답변했다.

소비자주권 관계자는 "SPC 안전관리 강화방안의 구체적 세부이행 사항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며 "유명무실한 안전경영위원회로는 산업재해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지금까지의 일시적이고 대외홍보적인 행태를 개선한 현장체감형 산업재해 예방 대책이 실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