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택배노조가 지난해 우정사업본부와의 단체협상에서 합의된 인당 일평균 배송 물량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 세이프타임즈 DB
▲ 택배노조가 지난해 우정사업본부와의 단체협상에서 합의된 인당 일평균 배송 물량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 세이프타임즈 DB

택배 노동자들이 우정사업본부가 약속한 적정 물량을 보장하지 않아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우정본부는 "인당 물량이 지난해에 비해 증가했다"며 이들의 주장에 반박했다.

전국택배노동조합은 20일 11시 서울 광화문우체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정본부와 우체국은 위탁택배원의 물량을 보장하고 전산기기 조작으로 물량을 통제하는 행위를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우체국과의 단체협약에 따라 정해진 인당 일평균 배달물량이 보장되지 않고 있다"며 "물량 축소에 친환경 차량 교체까지 더해져 비용은 증가했다"고 밝혔다.

우체국 소포는 공무원인 집배원과 민간인인 소포위탁배달원이 주로 배달한다. 택배노조는 우본 산하 우체국물류지원단과 배달 위수탁 계약을 맺은 개인사업자로 우편 배달 업무를 하고 있다.

지난해 5월 택배노조 우체국본부와 우체국은 단체협약을 통해 1인당 일평균 175~190개 수준의 물량을 유지하기 위해 위탁비중 조정, 배달구역 조정 등을 합의했다.

택배노조에 따르면 이러한 합의에도 불구하고 인당 일평균 배송 물량이 합의한 최저 물량 175건에 못 미치는 총괄국은 지난달 기준 전국 202곳 가운데 43곳이다.

그럼에도 지난 1~4월 위탁비중은 오히려 62%에서 57%로 5%p 감소했다.

이승원 택배노조 우체국본부장은 "물가상승에 비해 수수료는 떨어지고 있고 물량은 통제해 일거리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더해 환경보호를 위한 차량 교체 작업이 시작되며 우체국 차량을 리스해 운행하는 택배노동자들의 리스 비용은 월 40만원에서 60만원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김광석 택배노조 위원장은 "우체국이 비용을 절감하고자 위탁배달원들에게 배정되는 물량을 줄이고 있다"며 "우본은 단협에 보장된 물량을 준수하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우정사업본부는 보도자료를 내고 "소포우편물 물량 증대를 위해 다각도로 노력해 소포위탁배달원의 1인당 일평균 배달물량이 지난해 기준 180개에서 지난달까지 187개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