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혜연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분당서울대병원
▲ 박혜연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분당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뚜렷한 원인 없이 통증, 피로감, 소화불량 등이 이어지는 신체증상장애가 감정에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혜연 교수 연구팀은 환자의 정신건강이 신체증상장애에 영향을 미친다고 16일 밝혔다.

환자가 느끼는 불안과 분노가 신체증상장애로 인한 통증을 더욱 심각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신체증상장애란 뚜렷한 원인 없이 통증이 지속되는 신체증상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낮추고 우울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신체증상장애는 일상에 큰 지장을 받지만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에서는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

이 때문에 환자들은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보다 내과, 신경과 등 타과 진료를 찾는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신체증상장애 기전을 탐색하기 위해 74명의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 45명을 대상으로 휴식상태의 기능적 MRI검사, 혈액검사, 임상심리학적 검사, 혈액 내 신경면역표지자 등을 검사했다.

그 결과 신체증상장애 환자들은 대조군에 비해 더 심각한 신체증상과 우울·불안·분노 등 기분증상을 보였고 일부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MN)의 연결성이 저하된 것이 확인됐다.

DMN은 멍한 상태나 명상에 빠졌을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으로 신체 감각이나 자극, 감정 등을 처리하고 조절하는데 핵심 역할을 하는 뇌 영역이다.

연구팀은 환자의 기분이 DMN의 기능을 저하해 왜곡된 감각 처리를 유발하면서 신체증상을 증폭시킨 것으로 분석했다.

예를 들어 분노가 위액 분비, 내장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높여 기능적 위장장애나 복통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박혜연 교수는 "불안이나 분노 등 기분증상이 동반된 신체증상장애 환자에게는 기분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신체증상을 완화할 수 있음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