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은 10~30대 환자에게도 인공와우 이식 수술이 효과적이며 청력 손실 발생 시기와 수술 전 발음의 명료도가 중요한 수술 예후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주로 유아기와 노인층에서 많이 하는 '인공와우 수술'은 내이에 위치한 달팽이관에 전극을 심어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원리를 이용해 보청기를 사용해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고도 이상의 난청 환자에게 진행한다.
최병윤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와 최고운 세종충남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인공와우 수술을 받은 421명 환자 중, 10~30대 사이에 생애 첫 인공와우 수술을 받은 환자 6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대상 환자 63명 중 61명의 구강 점막 세포·혈액에서 추출한 DNA 샘플로 분자 유전학적 검사를 진행해 청력 손실의 원인을 조사했다.
65.2%(40명)에서 청력 손실의 유전적 원인이 규명됐으며 이 중 1/3 이상이 전정수도관확장증(EVA)로 잘 알려진 DFNB4로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난청이다.
보통 전정수도관확장증 환자는 소아 연령대에서 인공와우 수술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이 연구를 통해 10~30대 사이의 연령대에서도 인공와우 수술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연구팀은 인공와우 수술 후 3개월 이상의 환자에서 청능 평가를 진행했고 63명 환자 모두 평균 문장 이해 점수가 80%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청능을 평가할 때 환자의 나이, 청력 손실 발생 시기, 청력 상실 기간, 수술 전 발음의 명료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단변량 단순 선형 회귀 분석과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진행했다.
회귀 분석을 진행한 결과, 청력 손실 발생 시기가 늦을수록, 수술 전 환자의 발음이 명료할수록 수술 예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국제 이비인후과 저널'에 게재됐다.
최병윤 교수는 "10~30대에 인공와우 수술을 받게 되는 난청 환자의 난청의 원인과 수술 예후인자를 밝혀낸 것이 본 연구의 큰 의의"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