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들의 야외 활동이 많은 오후 시간대에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지난 5년 동안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보행 중 교통사고로 어린이 17명이 사망하고 1962명이 다쳤다.
도로교통공단이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발생한 12세 이하의 보행 중 어린이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한 결과 오후 시간대 보행사상자가 많았고 초등학생 가운데 저학년(1~3학년)이 보행안전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교와 하원, 놀이 등으로 야외 활동이 많은 오후 2~6시 사이에 어린이 보행사상자가 집중됐고 어린이 보행사상자의 75.5%는 도로 횡단을 하다 발생했다.
초등학교 저학년은 고학년(4~6학년)에 비해 사상자가 상대적으로 많았고 초등학교 1학년은 횡단보도 외 횡단 중 사상자가 가장 많았다.
어린이보호구역 내 보행 중 어린이 교통사고는 단일로 보다는 교차로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영우 도로교통공단 교통AI빅데이터융합센터장은 "초등학교 저학년은 올바른 도로 횡단을 위한 철저한 교육과 지도가 필요하다"며 "운전자는 어린이 보호구역을 지날 때 항상 보행하고 있는 어린이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기륜 기자
leekilyun@safetimes.co.kr
관련기사
- '스쿨존 사망사고' 음주운전자 징역 5년 확정
- 서울시 도로폭 좁은 스쿨존 50곳 '제한속도 20㎞'로 낮춘다
- 스쿨존 무인단속 2배 늘렸지만 교통사고 '여전'
- 세이브더칠드런 '아동 참여로 만드는 안전한 통학로' 참여기관 모집
- 도로교통공단 "어르신 교통안전 지키기 서약해요"
- 스쿨·실버존 사고 매년 증가 … '불안한' 안전지대
- 스쿨존 보행자 사고 40%는 불법 주정차로 인한 '시야가림'
- 이재강 의원 "등하교 시간 어린이 보호구역 대형차 통행 금지해야"
- 울산시 '지능형 어린이보호구역' 구축한다
- 스쿨존 속도제한 '완화' VS '유지' 의견 팽팽히 맞서
- 행안부 '앱'으로 어린이 교통안전 챙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