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부터 서울시 준공업지역의 공동주택이 용적률 최대 400%를 적용받는다.
서울시의회는 지난 8일 열린 본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도시계획조례 개정안이 통과됐다고 11일 밝혔다.
개정안은 준공업지역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건설할 때 공공기여 등에 따라 현재 250%로 제한된 용적률을 최대 400%까지 허용하는 내용을 담았다.
용적률은 대지 면적에 대한 건축물 지상층 면적 합의 비율이다. 용적률이 높다는 것은 건물을 높이 올릴 수 있다는 것을 뜻해 건설업자의 사업성에 도움이 된다.
정부는 적정 주거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용적률의 상한선을 지정한다.
임대주택뿐만 아니라 공공시설 등을 제공해도 최대 용적률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도시·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재건축·재개발뿐 아니라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공동주택을 지어도 같은 기준을 적용받을 수 있다.
조례가 개정되면 서남권뿐 아니라 도봉구와 성동구 등도 개발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서울 준공업지역(19.97㎢)의 82%는 영등포구(502만㎡)와 구로구(420만㎡) 등 서남권에 있다. 서남권을 제외하고 성동구(205만㎡)와 도봉구(149만㎡)에도 미개발 지역이 많다.
개정안을 대표발의한 김종길 서울시의원(국민의힘·영등포2)은 "개정안은 준공업지역 내 사회기반시설 부족과 도시 슬럼화를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민경환 기자
colomin17@safetimes.co.kr
관련기사
- 퇴근길 4시간 '먹통'된 서울 버스정보시스템 … LGU+ "재발 방지하겠다"
- 서울시 15년 이상 아파트 승강기 긴급 안전점검
- 서울시, 전국 최초 50인 미만 중대재해법 설명회 '스타트'
- 서울시 '상도15구역 신속통합기획' 확정 … 재개발 가속도
- '시민참여예산'은 시민들이 직접 … 서울시 시민제안사업 공모
- 서울시, 해빙기 안전사고 예방 … 안전취약시설 4793곳 점검
- 서울서 건물 지을 때 공원 만들면 용적률 늘려 준다
- 성동구, 빗물받이 스마트 관리 시스템 7월 구축
- 오언석 도봉구청장, 안전사고 예방 위해 취약 시설 방문
- "국기원을 도봉으로" … 10만 도봉구민 서명운동 '스타트'
- 경기도 '화성·양주·포천'에 공업지역 물량 131만㎡ 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