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산림청, 소방청, 국토부 등 19개 관계기관과 17개 시·도와 봄철 산불·해빙기 대비 관계기관 대책 회의를 15일 진행했다.
회의는 봄철 산불조심기간과 해빙기 안전점검기간 운영에 따라 기관별 산불방지대책과 해빙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중점 추진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진행됐다.
행안부는 기관별 봄철 산불방지대책을 점검하고 관계기관과 산불 예방을 위해 입산자 실화(등산객 등이 산에서 화재를 발생시키는 행위)와 소각산불 차단을 위한 맞춤형 대책을 추진한다.
최근 10년 동안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봄철(65.4%)로 화재 원인은 입산자 실화(32.8%)와 소각산불(25%)이 가장 많았다.
이에 정부는 입산통제구역, 산불취약지역, 주요 등산로 등을 중심으로 예방 활동을 강화하고 드론·감시카메라 등 장비를 총동원해 감시를 강화한다.
또한 행안부는 효과적인 산불 대응을 위해 산림청, 소방청, 국방부 등 관계기관과 방지대책을 공유하고 적극적인 공조와 신속한 주민대피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어 해빙기 안전점검기간을 운영해 봄철 기온 상승으로 지표면이 녹으며 발생하는 붕괴, 낙석 등의 안전사고에 대비한다.
행정부는 점검기간 동안 안전신문고를 통한 해빙기 집중 신고 기간을 운영하고 다음달 초에는 전국 17개 시·도에 과장급 이상 공무원을 파견해 지자체 해빙기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할 예정이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부는 봄철 산불방지를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해 철저히 준비하겠다"며 "국민께서도 산불 예방을 위해 논 태우기, 쓰레기 소각행위 등 하지 말아주시고 해빙기로 주변 시설의 위험 요소가 발견되면 안전신문고를 통해 신고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