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BK기업은행이 7년째 꺾기 의심거래 1위를 기록하며 김성태 행장이 강조한 반듯한 금융·중소기업의 위기극복 지원과 배치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세이프타임즈
▲ IBK기업은행이 7년째 꺾기 의심거래 1위를 기록하며 김성태 행장이 강조한 반듯한 금융·중소기업의 위기극복 지원과 배치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세이프타임즈

6년 연속 '꺾기 의심거래 1위' 오명을 쓰고 있는 IBK기업은행이 올해 초 김성태 행장 취임 이후에도 전혀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기업은행의 꺾기 의심거래가 전 은행을 통틀어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중소기업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업은행이 정작 중소기업을 울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박재호 의원(더불어민주당·부산남구을)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중소기업 대상 은행별 꺾기 의심거래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국내 16개 은행의 꺾기 의심거래는 63만9771건(49조8200억원)으로 집계됐다.

꺾기란 은행이 대출을 해주는 조건으로 대출자에게 적금 등 상품 가입을 강요하는 불건전 구속성 행위를 일컫는다.

▲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중소기업 대상 은행별 꺾기 의심거래 건수와 금액. ⓒ 박재호 의원
▲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중소기업 대상 은행별 꺾기 의심거래건수·금액. ⓒ 박재호 의원

통상 대출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대출실행일 전후 1개월 내 판매한 예·적금, 보험, 펀드, 상품권 등의 월 단위 환산금액이 대출금액의 1%를 초과하면 꺾기로 간주한다.

꺾기 의심거래란 이 같은 규제를 피하기 위해 여신실행일 전후 1개월 초과 2개월 이내에 중소기업이나 그 대표자가 은행의 예금 등 금융상품에 가입한 경우를 뜻하며 실제 꺾기 행위로 확인된 건 아니다.

최근 4년 반 새 꺾기 의심거래가 가장 많은 은행은 단연 기업은행이었다.

기업은행의 꺾기 의심거래는 17만9932건으로, 은행권 전체의 28.1%를 차지했다. 다음은 하나은행(11만7793건), 국민은행(11만6004건), 우리은행(6만1609건), 신한은행(3만5629건) 순이었다.

금액 기준 꺾기 의심거래 규모 역시 기업은행이 압도적이었다.

기업은행의 꺾기 의심거래금액은 18조6556억원으로 집계됐다. 은행권 전체의 37.4%에 달했다.

다음으로 KB국민은행(6조7039억원), KFB하나은행(4조21억원), 신한은행(3조8294억원), NH농협은행(3조4410억원)이 그 뒤를 이었다.

지난 1월 김 행장 취임 이후에도 이러한 구태는 그대로다.

상반기 기업은행 꺾기 의심거래는 1만1090건으로 최다였다. 은행권 전체의 22.9%에 달했다.

의심거래금액 역시 2조7786억원으로 은행권 전체의 40.1%를 차지해 단연 1위였다. 기업은행의 꺾기 행태는 김 행장이 강조한 '반듯한 금융'과 '중소기업의 위기극복 지원'과도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구속성 행위 의심거래를 줄이기 위해 금융상품 가입 실적 경영평가 제외, 저신용등급 기업의 금융상품 가입 제한 등 개선방안을 마련한 데 더해 영업점 업무 지도와 상시점검을 병행하고 있다"며 "이 결과 구속행위 의심거래건수는 수년간 지속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