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재난안전통신망이 이번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서도 제 역할을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 소방청
▲ 국가 재난안전통신망이 이번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서도 제 역할을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 소방청

국가예산 1조5000억원을 투입해 구축한 재난안전통신망이 '이태원참사'에 이어 충북 청주시 오송읍 지하차도 참사에서도 제 역할을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관련 기관에 따르면 오송 지하차도 참사 당일인 15일 충북도, 청주시, 경찰에 미호강 범람에 관련한 신고·제보가 24차례나 접수됐다.

경찰은 사고 발생 40분 전인 오전 7시 58분에 "궁평 지하차도를 통제해달라"는 신고를 받고 내용을 즉시 청주시 주관 재난안전통신망에 전달했다.

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해 충북도, 청주시, 흥덕구청, 관할 경찰서와 소방서는 별도로 연락할 필요없이 신고 내용을 인지할 수 있었음에도 단 한곳도 지하차도를 통제하지 않았다.

도로 관리 주체인 충북도는 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해 당시 지하차도 통제 요청을 전달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청주시 주관 재난안전통신망 통화그룹에 충북도청이 포함돼 있어상황을 인지 못했을리 없다고 반박했다.

2021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재난안전통신망은 지난해 이태원 참사때도 경찰과 소방이 제각기 인파 통제와 구조 작업을 벌이는 등 통제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정부는 지난 1월 재난안전통신망 활용 강화를 국가안전시스템 구축의 주요 과제로 포함했지만 지난해에 이어 이번 오송참사에서도 제대로 된 재난안전통신망은 찾아볼 수 없었다.

소방 관계자는 "효과적인 재난안전통신망 활용을 위해 훈련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