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는 수소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키우기 위해 '특화단지 지정'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수소특화단지는 수소법 제22조에 따라 수소기업과 그 지원시설을 집적화하고 수소차와 연료전지 등의 개발·보급, 관련 설비 등을 지원하기 위해 지정된다.
충주, 음성, 청주가 후보지역으로 충주는 그동안 중부권 최대 친환경 수소도시 조성이란 목표를 내걸고 가장 적극적으로 수소산업을 이끌어 왔다.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돼 있는 충주는 바이오가스 기반 그린수소생산으로 전국에서 가장 저렴하게 수소를 공급하고 있다.
또 국내유일의 차량용 연료전지 생산거점인 현대모비스를 비롯한 주요 부품사들이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어 특화단지 지정에 가장 유력한 후보지다.
특히 △충주댐 수력 기반 그린수소 인프라 구축사업 △특장차 수소 파워팩 기술지원 센터 등 굵직한 사업이 추가로 선정되며 수소산업이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음성군 충북혁신도시는 국가 수소안전 전담기관인 한국가스안전공사, 국가기술표준원, 에너지산학융합원을 필두로 수소안전·표준화·교육분야에 강점을 두고 있다.
정식 개장을 한 △수소가스안전 체험교육관 △수소 상용차 부품시험평가센터 그리고 액화수소 검사지원센터 구축이 진행되고 있다.
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등 수소산업과 연관된 민간 검사시설도 집적화돼 있어 국가 수소안전·표준화·교육 클러스터로서 손색이 없다.
청주시는 수소차 충전인프라가 가장 잘 구축돼 있고 시 수소산업육성 로드맵 수립, 수소산업 육성과 지원 조례 제정 등 수소산업 육성에 적극적이다.
지난달엔 현대자동차가 환경부 청정수소 생산시설 설치 시범사업에 민간보조사업으로 선정돼 청주에도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생산시설이 들어설 예정으로 충주시에 이어 전국에서 가장 저렴한 수소공급이 가능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도는 이달까지 시·군으로부터 수소특화단지 조성을 위한 후보 부지를 접수받고 내부검토를 통해 관련 시·군과 협력체계 구축과 특화단지 지정을 위한 용역을 추진한다.
충북도 관계자는 "충북은 수소특화단지 지정에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예비수소전문기업 지원사업과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를 운영하고 있어 유리한 위치에 있다"며 "수소산업의 고도화와 경쟁력 확보를 위해 특화단지에 지정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