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생활건강·울산시·지역사회 관계자들이 울산의 한 공원에서 꿀벌의 공원 식재행사로 밀원식물을 심고 있다. ⓒ LG생활건강
▲ LG생활건강·울산시·지역사회 관계자들이 울산의 한 공원에서 꿀벌의 공원 식재행사로 밀원식물을 심고 있다. ⓒ LG생활건강

LG생활건강은 울산의 한 공원에서 꿀벌이 좋아하는 밀원식물을 심는 '꿀벌의 공원' 식재 행사를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

15일 진행된 행사는 LG생활건강을 비롯해 지역 환경단체인 울산생명의숲,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울산시, 울주군 등 행사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

이 행사는 지역사회 사업장을 연계한 맞춤형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으로 ESG 경영을 확대하기 위해 진행됐다.

행사 참여자들은 공원 주변 곳곳에 직접 묘목을 심고 잡초를 제거하고 공원에서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정비하는 등 생태계 복구 활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했다.

LG생활건강은 지난해 2월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하고 탄소저감과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지역사회 생물 다양성 회복을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 자원 확보와 지역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핵심 요소로 보고 첫번째 프로젝트로 주요 사업장인 울산공장 주변의 방치된 장소를 꿀벌의 공원으로 가꾸는 활동에 적극 나서게 됐다.

1만5500㎡ 규모의 공원에 꽃가루와 꿀이 풍부한 벚나무, 헛개나무, 산수유 등 키 큰 교목류와 물싸리나무, 꽃댕강나무 등 관목류 1000여그루를 식재했다.

꿀벌뿐만 아니라 나비, 딱정벌레 등 다양한 곤충이 생활할 수 있는 도시숲을 조성해 곤충 종 다양성 증진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또 다양한 식물이 살면서 공단 주변 지역 탄소 저감 효과와 미세먼지 차단 효과도 볼 수 있다.

황두환 울산생명의숲 이사장은 "도시 공원에 다양한 밀원식물을 심어 곤충과 조류의 다양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나무가 자라면서 더 많은 양의 탄소를 고정하고 기후변화 대응에도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헌영 LG생활건강 ESG 대외협력총괄 전무는 "기후 변화, 생태계 절멸 등 지역사회 재난 요인을 방지하기 위해선 지속적인 생태계 보전과 복원 활동이 필수적"이라며 "우리 아이들의 더 나은 삶과 경험을 위해서 생물다양성 증진 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