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BPA)가 코로나19로 3년간 끊겼던 뱃길이 열리자마자 밀린 항만시설 임대료를 요구해 입주업체와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입주업체는 "BPA가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의 사용료를 요구했다"며 "여객선 운항이 일부 재개됐지만 매출액은 코로나 이전의 10% 수준을 밑돌고 있어 부담이 된다"는 입장인데요.
현재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입주업체는 18개 업체 중 11곳이 문을 닫아 경영난이 심각한 상황입니다. 부산면세점은 2021년과 지난해 매출액 0원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해수부는 "한일 노선이 재개된 지금 감면 100%를 유지할 수는 없다"고 입장을 전했는데요.
해수부와 BPA, 입주업체들의 부담을 덜 수 있는 다른 대책을 마련해야 상생관계를 유지할 수 있지 않을까요?
김소연 기자
safekim@safetimes.co.kr
관련기사
- [세이프 톡] 세아베스틸서 '또' 노동자 사망, 안전점검 안하나 ?
- [세이프 톡] 인천 현대시장 '소화전 실종' 피해 키웠다
- [세이프 톡] 정순신 아들 학폭은 현실판 '더 글로리'
- [세이프 톡] 나희승 코레일 사장 '해임' 새 사장은 누구 ?
- [세이프 톡] ESG경영 외치던 'GS리테일' 중소기업에 '갑질'
- [세이프 톡] LG에 패배한 삼성 TV ? … '번인' 논란 어쩌나
- [세이프 톡] 안전한 피죤 '알레르기 유발 물질' 검출 사실인가요
- [세이프 톡] 고쳐지지 않는'버릇' … 물류창고 '안전불감증' 심각
- [세이프 톡] "응급구조사 업무 확대 반대" … 임상병리사 '투쟁 불사'
- [세이프 톡] 삼성전자에 '아이폰 도둑'이 있다고 ?
- BPA, 웅동배후산단 지반침하 보수비 60% 분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