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시중은행이 연간 1조원대 성과급을 직원들에게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금리 급등으로 원리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서민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은행권이 과도한 '이자 장사'로 '성과급 잔치'를 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NH농협은행은 역대 최대 규모로 은행권 가운데 가장 많은 성과급을 지급했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황운하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중구)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지난해 성과급 총액은 1조3823억원으로 전년 대비 35%(3629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은행별로는 NH농협은행이 670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KB국민은행이 2044억원, 신한은행 1877억원, 하나은행 1638억원, 우리은행 1556억원 순이었다.
전년 대비 성과급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하나은행으로 1534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NH농협은행 관계자는 "은행별로 급여 체계가 다른데 NH농협은 기본급을 제외한 정기상여금 등이 포함됐다"며 "상여금, 성과급 등을 포함한 총 급여는 여타 시중은행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임원 1명당 평균 성과급은 KB국민은행이 2억16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한은행이 1억7300만원, 하나은행 1억6300만원, 우리은행 1억400만원, NH농협은행 4800만원 순이었다.
직원 1명당 평균 성과급은 NH농협은행이 39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하나은행이 1300만원, KB국민은행 1100만원, 우리은행 1000만원 순이었다.
올해 지급되는 지난해 성과급은 은행들의 사상 최대 실적에 따라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황운하 의원은 "가파른 금리 인상과 물가 상승으로 국민 대다수가 대출 이자 인상과 가계 부채로 힘겨워하는 와중에 은행들이 성과급으로 역대급 돈잔치를 벌인 것은 은행의 공공적 성격을 저버리는 행위"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신한금융 '역대 최대 실적' … 3년 만에 '리딩뱅크' 탈환
- 보험·카드사 성과급 '최고 5천만원' … 고객 혜택은 줄이고 ?
- KB국민은행, 금융감독원 검사 방해했다가 과태료 1억원 처분
- '돈잔치' 비판에 금리 인하 … 은행권 "신규 대출만 적용"
- "답 없는 은행들" 국회서 잇단 질타 … '과점 해소' TF 출범
- '성과급 잔치' 논란 속 보험업계, 자동차 보험료 인하
- 5대 은행 '이자 장사' 선진국 최고 수준
- 은행 '성과급 잔치' 막는다 … 주식·스톡옵션 지급 검토
- NH농협은행 '디지털여신센터' 개점식 개최
- NH농협 '고정금리·분할상환 목표치' 달성 실패
- 농협은행 '토큰증권 컨소시엄'에 기업·신한·우리은행 합류
- 광주·전북은행 2년 연속 최대 실적 … '이자장사' 논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