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보건환경연구원이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의 감염증 검사를 하고 있다. ⓒ 충남보건환경연구원
▲ 충남보건환경연구원이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의 감염증 검사를 하고 있다. ⓒ 충남보건환경연구원

충남도 지역 내에서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항생제 내성균)' 감염증이 최근 4년 사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지역 의료기관에서 의뢰한 지역 내 항생제 내성균 검사와 양성 확인 건수가 5배가량 늘었다.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2019년 검사 189건, 양성 134건(양성률 71%) △2020년 341건, 290건(양성률 85%) △2021년 504건, 458건(양성률 91%) △2022년 1116건, 1025건(양성률 92%)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1116건 중 70세 이상 고령인구 양성건수가 775건으로 전체의 69%를 차지하는 등 공중보건에 큰 위협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항생제 내성균은 카바페넴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는 장내 세균속균종으로, 중증 환자가 많은 종합병원과 요양병원 내 직·간접 접촉을 통해 발생한다.

김옥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의료기관 내 항생제 내성균 감염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발생현황 등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확한 정보제공과 환경오염방지를 통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