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승록 서울 노원구청장(오른쪽 두번째)이 전담 의료기관 관계자와 학대 피해아동 보호를 위한 협약식을 하고 있다. ⓒ 노원구
▲ 오승록 서울 노원구청장(오른쪽 두번째)이 전담 의료기관 관계자와 학대 피해아동 보호를 위한 협약식을 하고 있다. ⓒ 노원구

서울 노원구가 학대 피해아동 보호를 위한 꼼꼼한 협력 체계 구축에 나선다.

구는 이번 협력으로 긴급 상황 발생 시 친권자 등이 동행하지 않아도 우선 진료를 가능하게 하고 민관이 서로 협력해 학대 피해아동의 건강한 회복을 최우선으로 지원한다고 12일 밝혔다.

구는 전담 의료기관과 학대 피해아동 보호를 위한 협약식을 했다. 

내용은 학대 피해아동 발견, 신고, 응급조치와 진료, 수사협조, 의학적 자문 등에 대한 상호 협력이다. 진행을 위해 발생되는 비용은 노원구청이 지원한다.

지난 5일 협약식에는 오승록 노원구청장, 고경수 인제대 상계백병원장, 유탁근 노원 을지대병원장, 이진수 노원경찰서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구는 2018년부터 '아동학대 관련 전담팀'을 신설해 운영해 오고 있다. 학대 아동 피해예방은 조기발견과 신속한 대처가 필수이기 때문이다.

학대 전담공무원과 노원아동보호전문기관 사례관계자가 매주 3회 이상 상시 소통체계를 구축해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구는 민관 전문가로 구성된 '아동복지 심의위원회'를 월1회 대면회의로 운영한다. 

아동복지 심의위원회에서는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지원대상 아동의 선정과 지원 등을 결정한다.

회의를 통해 충분한 논의를 거치기 때문에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게 최상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한 '아동학대 판단회의'도 내실을 기한다. 월1회 대면으로 소통하며 학대판단의 객관성과 전문성을 확보한다.

구청, 노원경찰서, 북부교육지원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아동보호전문기관 등 5개 기관이 참여하는 '아동학대 대응 정보연계협의체' 회의를 통해 정보공유도 주기적으로 이뤄진다.

오승록 구청장은 "아동보호에 대한 공적 책임이 강화되는 만큼 민관협력 체계가 중요해졌다" 며 "위기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