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흥곤 마포소방서장
▲ 김흥곤 마포소방서장

기온이 내려가고 쌀쌀해지는 계절입니다. 건조하고 추운 날씨 탓에 화재 발생이 많은 계절입니다. 가정이나 직장에서 난방기구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전국적으로 화재 발생 빈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화재·안전사고로부터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불조심 강조의 달' 입니다. 소방관은 화재 예방에 대한 참여와 공감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화재 예방 태세를 확립하고 전국적인 방화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사고는 소방관들만이 대비한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닙니다. 시민 여러분과 함께 실천해야만 해결되는 문제입니다.

시민 스스로 화재 예방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스스로 노력할 때 비로소 화재로부터 안전할 수 있습니다. 화재없는 안전한 겨울을 위해 몇 가지 제안을 드립니다.

첫번째로 가정에 주택용 소방시설을 꼭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에 설치해야 하는 단독경보형감지기는 화재발생때 즉시 알람을 발생시켜 신속한 대피와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로 각 실마다 설치해야 합니다. 또 다른 소화설비인 소화기는 주택의 초기 화재 대응시 소방차 한 대와 맞먹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각종 난방기구는 사용 후 반드시 콘센트와 분리해야 합니다. 겨울철 난방기구 사용이 빈번하므로 화재가 자주 발생합니다. 전기장판 등 난방 기구는 사용 후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고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콘센트는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난방기구 주변에는 타기 쉬운 가연물을 두지 말아야 합니다.

세번째로 라텍스 매트리스를 사용하는 가정은 전기장판과 함께 사용을 자제하시기 바랍니다. 라텍스 매트리스는 열 축적률이 높아 전기장판과 함께 사용할 경우 화재 발생 위험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전기장판과 함께 사용을 자제해야 합니다.

네번째로 음식물 조리 중 자리를 비울 때는 가스레인지 스위치를 확인합시다. 최근 3년간 서울시 화재통계 중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 가장 많았습니다. 부주의 중에서 음식물 조리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가 담뱃불에 의한 화재 다음으로 많았습니다. 음식물 조리 시에는 자리를 비우지 말고 가스레인지 후드는 정기적으로 청소하시기 바랍니다.

사소한 부주의나 무관심으로 발생한 재난사고에 후회되는 일 없이 미리미리 체크하고 확인하고 정리하는 등 생활 속의 작은 안전수칙을 실천하시기 바랍니다.

시작이 반이라고 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늦지 않았으니 꼭 실천하시어 우리 집 가정의 행복하고 즐겁고 안전한 겨울을 보내시길 당부드립니다.

올겨울 화재와 재난대비는 '1(하나의 가정·차량), 1(한 개 이상 소화기·감지기), 9(구비합시다)' 사용법을 익혀 안전한 겨울나기를 희망합니다. ⓒ 세이프타임즈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