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8일째인 13일 한국동서발전 권명호 사장(가운데)과 임원진이 발전소 후문 앞에서 사고 후 처음으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 연합뉴스
▲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8일째인 13일 한국동서발전 권명호 사장(가운데)과 임원진이 발전소 후문 앞에서 사고 후 처음으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 연합뉴스

한국동서발전과 HJ중공업이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동 붕괴 사고 책임을 서로 떠넘기기에 급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는 지난해 '발전소 해체기술 역량을 키우자'며 함께 워크숍을 열었던 1년 전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붕괴된 보일러동은 기둥 등을 잘라내는 취약화 작업 후 폭약을 사용하는 발파 전도공법이 적용되었다.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두 기업은 사고 전 '발전소 해체기술 역량 강화'를 함께 논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 발생 후에는 서로 감리 부재와 시공사 능력을 문제 삼으며 책임을 전가하는 데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번 참사는 단순 사고가 아니라 안전관리 체계가 작동하지 않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예견된 인재(人災)'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무너진 보일러 타워는 건축물이 아닌 '공작물'로 분류되어 현행법상 감리자 선임 의무가 없었다. 또 안전관리계획서에는 위험 공정 전 감리자에게 작업 허가를 받고 승인하도록 명시되어 있었지만, 실제 현장에 감리가 없어 이 절차는 무시됐다.

특히 시공사 HJ중공업은 고위험 공사 때 외부 심사를 받아야 하는 위험방지계획서를 '자체 심사' 제도를 이용해 내부 판단으로만 처리했다.

이밖에도 HJ중공업은 사고 3개월 전 사망사고 이력으로 자체심사 자격이 박탈된 상태였지만 공단의 첫 점검이 이뤄지기 전에 사고가 발생하며 감독 공백이 이어졌다.

또 사고 현장은 당초 완료 시점보다 4개월 이상 지연된 상태였으며 공기 단축을 위해 무리하게 취약화 작업을 진행했다는 현장 증언도 제기되고 있다.

동서발전과 HJ중공업은 노동자 7명이 매몰된 사고 발생 8일이 지난 13일 처음으로 공식 사과 입장을 내놓았다.

두 기업은 "실종자 구조를 최우선으로 판단했다"고 해명했지만 늦장 대응이라는 비판을 피하지 못했다.

특히 최고 경영진은 책임과 관련된 핵심 질문에 답변을 회피하는 태도를 보여 논란을 키웠다.

권명호 동서발전 사장은 "관계기관 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말을 아꼈다. 또 현장 안전관리자 배치와 관리·감독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김완석 HJ중공업 대표 역시 "억장이 무너지는 심정"이라며 사과했지만 구조가 우선이라는 이유로 별도의 질문은 받지 않고 현장을 떠났다.

현재 수사기관은 △감리 공백 △자체 심사 관리 부실 △공기 단축 압박 등 전반적인 관리 체계 실패 여부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한 상태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