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 택배구역 배정 '특혜 비리' 규탄
정혜경 의원 "사실이라면 쿠팡 감옥가야"

▲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정의당 정혜경 의원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택배노조 관계자 등이 쿠팡 택배배송구역 배정 특혜 비리에 대해 엄정한 수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전국택배노조 
▲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정의당 정혜경 의원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택배노조 관계자 등이 쿠팡 택배배송구역 배정 특혜 비리에 대해 엄정한 수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전국택배노조 

"쿠팡이 악명높은 클렌징 제도를 포기 못하는 이유가 부당거래 수단이기 때문인가."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택배노조는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쿠팡 택배배송구역 배정 특혜비리에 대해 엄정수사를 촉구한 뒤 진보당 윤종오 의원과 경찰에 고발장을 접수했다.

노조는 "쿠팡CLS대리점 소장이 쿠팡홍보팀 고위 임원에게 금품을 제공했고, 해당임원은 쿠팡CLS 핵심 임원을 통해 배송구역을 유리하게 배정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한 정황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단순 내부규정 위반이 아니라 공정거래와 택배산업질서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라며 "다수의 노동자와 대리점 생존을 위협하는 사건"이라고 비판했다.

노조는 쿠팡이 운영하는 클렌징 제도에 대해 "투명성과 공정성을 잃고 금품과 인맥에 의해 좌우되는 도구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

클렌징 제도는 배송 품질을 평가하고 기준미달이면 언제라도 회수하는 시스템으로 쿠팡 로켓배송 운영에 있어 핵심적인 시스템이다.

노조는 "부패한 클렌징 제도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택배노동자와 대리점으로 돌아가고 나아가 전체 택배산업의 신뢰하락으로 이어진다"며 "이는 수많은 노동자를 고용불안에 몰아넣고 택배산업의 과도한 속도경쟁과 장시간 과로노동을 심화시키는 구조적 문제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사건은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쿠팡의 구조와 문화, 관리 시스템 허점을 드러내는 상징적인 사례"라며 "책임자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중히 처벌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철저한 수사를 요구했다.

▲ 정혜경 의원(왼쪽)이 쿠팡 관계자 금품·향응 수수 의혹에 대해 규탄하며 엄청한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 의원실
▲ 정혜경 의원(왼쪽)이 쿠팡 관계자 금품·향응 수수 의혹에 대해 규탄하며 엄청한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 의원실

최진솔 변호사는 "이번 사건은 쿠팡CLS 업무 담당자들이 대리점에게 배송구역 입찰에 특혜 제공이라는 부정한 청탁을 받고 현금과 성접대 등 금전·각종 이익을 취득한 사안"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같은 비리가 존재한다면 다른 한편에서 성실히 배송업무를 수행했어도 나쁜 배송구역을 배정받은 업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단순 개인의 부패, 비리 문제를 넘어 공정한 업무환경조성에 악영향을 미친 사건"이라고 덧붙였다.

윤중현 택배노조 수석부위원장은 "그저 치욕스럽고 허탈하다"며 "쿠팡은 택배업계 1위라는 이름 값이 부끄럽지도 않나"고 울분을 터뜨렸다.

이어 "노동자들과 대리점주들을 농락한 이 모든 것이 만일 사실로 밝혀진다면 쿠팡은 역대급 갑질이라는 오명을 두고두고 씻어내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은 "오늘 우리는 매우 분노한 심정으로 이 자리에 섰다"며 "쿠팡에서 벌어진 일과 드러난 실태는 경악 그 자체"라고 비판했다.

이어 "택배 노동자 목숨줄인 배송구역이 거래됐다는 게 쿠팡의 민낯이라면 감옥에 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혜경 의원은 "진실은 드러나고 거짓은 감옥에 가야 한다"며 "경찰은 비리와 결탁한 자들을 끝까지 추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