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산업재해 심각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빠른 시일 내 산업재해 현장을 방문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22일 국무회의를 열고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 사회에 죽음이 너무 많다"며 "자연재난뿐만 아니라 산업재해로 사망하는 사례가 많다"고 운을 뗐다.
또 "산업재해는 돈을 더 벌기 위해 비용을 아끼다 생명을 경시해서 발생한다"며 "먹고 살기 위해 일하러 간 삶의 터전이 죽음의 장이 돼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세계로부터 경제강국, 문화강국으로 불리는 나라가 그럴 수는 없다"며 "일터에서의 죽음으로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는 일이 최소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산업재해 사망현장을 조속히 방문해서 현황을 파악하고 대응책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를 시작하며 경남 산청 수해지역을 전날 방문한 이야기를 꺼냈다.
이재명 대통령은 "재난 현장에서 가족을 잃고 망연자실하던 국민들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며 "복구와 회복에 필요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말라"고 말했다.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특별교부세 지급도 최대한 신속하게 처리해달라고 각 부처에 지시했다.
또 "재난 상황에 모범을 보인 공무원이 많다"면서도 "국민이 죽어가는데 음주가무를 즐기는 정신나간 공직자는 엄히 단속해야 한다"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이어 "피해 현장을 둘러보니 기존 대응 방식에 한계를 느꼈다"며 "지역별, 유형별 종합 대응 시스템과 같이 근본적으로 새로운 재난 대응책을 강구하라"고 김민석 국무총리에게 지시했다.
한편 이날 국무회의에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성환 환경부 장관 등 새로 임명된 장관 9명이 국무위원으로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이들에게 "여러분이 하는 일 하나하나가 5200만 국민의 삶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공직자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