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취임했다.
김 장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기업과 산업의 체감이 있는 실천 중심의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산업부는 글로벌 경쟁 속에서 기업이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책무가 있다"며 "자유무역 질서가 흔들리는 이러한 혼란의 시기에 산업부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정관 장관은 우선 전 직원이 수출과 투자 확대를 위한 선봉장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일선에서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선봉장이 돼 △보호무역주의 대응 △수출 기업의 애로 개선 등을 위해 현장을 책임지는 조직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주력 산업에 AI를 접목해 부가가치를 높이고 중소기업도 AI혁명의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반도체, 미래차 등 핵심 산업의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석유화학, 철강 등의 공급과잉 산업 구조 전환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정관 장관은 지역균형발전과 관련해 △초광역권 산업 육성 △RE100산단 조성 △규제 혁신 등을 제시하며 수도권 일극화 해소 의지를 보였다.
이어 그는 "현장에서 기업인의 보고서 치장, 무의미한 회의 등은 중단해야 한다"며 "모든 직원이 역량을 키우고 서로 존중받는 조직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기업문화 개혁 의지도 내비쳤다.
김 장관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전통과 역사 위에서 직원들과 노력해 성과를 내고 산업부의 새로운 역사를 쓰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산업부가 체감 있는 실천과 성과로 국가 산업 경쟁력의 중추 역할을 해나가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