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2024 정부업무평가 4개 부문에서 우수기관으로 지정되며 최우수 평가를 받았다.
국무조정실은 21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2024년도 정부업무평가 결과'를 보고했다.
국조실은 46개 중앙행정기관의 지난해 업무성과를 △주요정책 △협업 △규제혁신 △정부혁신 △정책소통 등 5개 부문으로 나눠 평가했다.
농식품부는 역대 최대 농식품 수출 실적을 달성하고 농지 이용 규제를 개선한 성과로 △주요정책 △규제혁신 △정부혁신 △정책소통 등 4개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신성장동력 창출 기반을 마련한 과기부와 일 가정 양립 정책을 추진한 노동부, 해양 수산업 수출산업화를 지원한 해수부 등은 3개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뒤를 이었다.
차관급 기관에서는 공공조달길잡이 도입으로 초보 기업에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한 조달청과 산불피해를 최소화하고 산사태 피해를 감소시킨 산림청이 4개 부문 우수 평가를 받았다.
이번 평가는 객관·공정성을 위해 217명의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고 국민 3만9094명에게 만족도 조사를 진행했다.
또 부처 간 협업 강화를 통한 국민편의 증진을 위해 협업 부문을 신설하고 기관 종합 등급을 폐지해 부문별 우수기관·과제를 중심으로 발표했다.
정책 부문에서는 △미래 성장 동력 강화 △K-콘텐츠·푸드 등 수출 지원 확대 △육아 지원·소비자와 소상공인 권익 보호 등 민생과 밀접한 성과를 창출한 기관들이 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협업 부문은 38개 부처가 전략·일반으로 나뉜 47개 과제를 선정해 개별적 한계를 넘어 종합적 차원의 정책을 추진했다.
규제혁신 부문에서는 국민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큰 핵심 규제와 부처 간 이견 등으로 장기간 미해결된 갈등 규제, 중기·소상공인 영업부담규제 등 민생 규제 혁파에 힘썼다.
정부혁신 부문에서는 고객과의 현장 소통 강화와 AI 기술 등을 활용한 서비스 접근성 향상 등을 통해 국민 편의성을 증진했다.
정책소통 부문에서는 주요 정책 브랜드 네이밍 홍보와 국민 친화적 소통 채널 다각화로 국민 공감대를 강화, 정책이해도를 증진시켰다.
정부는 부문별 실적과 개선·보완 사항을 정부업무평가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국민에게 공개하고 해당 기관에 전달해 신속한 정책 개선을 지원할 방침이다.
평가 우수기관에는 포상금 지급과 업무 유공자 포상이 시행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