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통안전공단(TS)은 노선버스 운전자의 위험 운전행동을 경고하는 인공지능(AI) 영상 분석 기술이 사고 감소와 위험운전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20일 밝혔다.
TS는 지난 7월부터 10월까지 AI 기반 노선버스 안전운전 모니터링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위험운전 행동 개선·사고율 등을 분석했다.
참여 운수회사 노선버스는 차량 전방 외부·내부에 AI카메라를 설치하고 영상분석 장비를 통해 운전자의 위험운전행동을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AI 단말기는 모니터링을 하며 신호위반·중앙선 침범·휴대폰 사용·졸음운전·전방주시태만 등 중대 법규위반 행위를 적발해 경고음이 울린다.
운전자의 위험운전행동을 성과지표에 따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동기 대비 71.2% 감소했다.
특히 △신호위반 79.4% △불법 유턴 87.2% △중앙선 침범 38.5% 등으로 전방 위험운전 횟수가 감소했다.
이어 △졸음운전 99.0% △흡연 37.0% △전방미주시가 88.5% 감소했다.
TS는 AI 영상분석 솔루션이 전세버스 등 타 업종으로 확산 될 수 있도록 민간·국토교통부·운수조합 등과 지속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정용식 이사장은 "운전자들의 법규위반, 위험운전행동 등 위험 운전습관을 스스로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안전한 대중교통 이용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은서 기자
geunseo067@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