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S 평가 M+ 강등 고용노동부 '과태료'까지
창사 이후 처음 포항과 광양 파업 가능성 악재 겹쳐
포스코의 연속된 화재로 안전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포스코는 이번 달에만 10일과 24일 두 차례 화재가 발생했다.
공정안전관리(PSM) 대상인 포스코는 2년 전 '일반(M+)' 등급으로 강등됐으며 올해 상반기 고용노동부 점검에서 과태료 처분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PSM 제도는 화재와 폭발 등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1996년부터 시행됐다. 고용노동부는 우수(P), 양호(S), 일반(M+), 불량(M-) 등급으로 나눠 관리한다.
포스코는 PSM과는 별도로 사업부별로 공정안전관리를 평가하는데 화재가 발생한 공장을 담당하는 포스코 파이넥스부는 2022년 이전의 양호(S) 등급에서 한 단계 떨어진 일반(M+) 등급을 받았다.
공정안전관리 전문 역량을 향상을 위해 사외 PSM 전문가 채용과 자체적인 지도사 육성을 통해 관리체계를 강화했지만 포스코의 사고는 계속되고 있다.
또한 고용노동부는 올해 상반기 포스코 파이넥스부 점검에서 상당수 미흡 사항을 적발해 과태료를 부과했다고 밝혔다.
10일과 24일에 발생한 화재는 모두 공장 설비 문제가 지목된다.
사고는 공장 용융로 타워의 외부 철피 손상, 앞선 화재는 공장의 용융로 하부에 있는 산소 주입용 풍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사고가 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를 수사 중인 경찰은 포스코와 설비 납품업체 관계자 등에 대한 조사를 마쳤다. 영상 자료와 설비 점검·작업 관련 자료, 국과수 감식 결과를 종합해 사고 원인을 밝힐 예정이다.
계속되는 사고로 장인화 포스코 회장은 전문을 통해 설비강건화 테스크포스팀(TFT)를 즉시 발족하고 강력한 후속조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장 회장은 "임원과 직책자들은 사고의 재발 방지를 위해 각별한 경각심과 책임감을 갖고 업무에 임하기 바란다"며 "경영 전반에서 현장의 안전보다 중요한 가치는 없다"고 말했다.
계속되는 화재에 이어 포스코 설립 이후 처음으로 파업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어 악재가 겹치고 있다.
포스코노조는 다음달 2일에 포항 본사, 3일 광양에서 조합원 대상 파업 출정식을 연다고 26일 밝혔다.
포스코노조 쟁의대책위원회는 파업 출정식을 통해 조합원 의지를 모으고 회사 측과 교섭 추진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포스코노조는 회사와 11차례 교섭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했지만 조정 중지 결정을 받았다.
이후 25일 조합원 대상 투표에서 72.25%의 찬성으로 쟁의행위 찬성을 얻어 쟁의권을 확보했다.
노조는 다양한 쟁의권을 확보한 만큼 당장 파업에 들어가기보다는 회사 측과 임금협상을 이어 나가되 추이에 따라 단계별 쟁의에 들어갈 계획이다.
노조 관계자는 "임금안에 대해서는 의견에 접근했지만 조합원과 비조합원에게 혜택을 차별화하는 방안을 놓고 회사 측과 견해차가 커서 협의하고 있다"며 "회사의 탈퇴 종용으로 조합원이 1만2000명에서 4000여명 줄어든 만큼 회사의 종용에도 노조에 남은 조합원에 대한 혜택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