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연구진이 강한 잡음으로 손상된 왜곡 영상을 복원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카이스트(KAIST)는 장무석 바이오·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삼성전자 차세대공정개발실과 공동 연구를 통해 왜곡과 강한 잡음이 존재하는 의료·산업 영상 복원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생물학 연구 때 형광 현미경에서 측정된 신호는 주위 장애물로 흐려지기 때문에 영상을 복원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반도체 산업에서도 미세 공정 오류 감지, 공정 수율 개선 과정에 사용되는 영상이 흐려졌을 때 이를 보정해야 한다.
연구팀은 수 차례 시도 끝에 강한 영상 잡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블러 효과가 제거된 영상을 복원하는 과정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왜곡된 영상을 역 필터 기반으로 복원하는 위너 디컨볼루션으로 접근법을 개발했다. 이를 적응형 억제 변수,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과 결합해 강한 잡음으로 손상된 영상을 복원할 수 있게 됐다.
이찬석 연구원은 "지금까지는 무작위적 잡음을 극복하는 것에 집중했지만 앞으로는 비균일·다양한 손상 형태 영상 복원 기술 개발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임수현 기자
sswuhy@safetimes.co.kr
관련기사
- KAIST, 고밀도 다기능 구조 배터리 개발
- KAIST 동물 성분 배제해 줄기세포 배양하는 '제노-프리' 개발
- KAIST 항암제 동시 평가 기술 개발 … 바이오프린팅-랩온어칩 활용
- 'K칩스법' 반도체 세액공제율 20%로 확대
- KAIST, 바이오 경로 이미지 분석 'EBPI' 최초 개발
- 리튬금속 수명 750% 향상 연구 성공
- 연세대·LG엔솔 '실리콘 음극재' 수명 문제 해결
- 임남철·박종면 대표, 전서현 도의원 'KCAMP 어워드' 대상
- KAIST·미시간대 연구진 "스마트워치로 우울증 예측"
- KAIST '곤충 눈' 닮은 생체모사 카메라 개발
- "스스로 학습하고 수정" 인간 닮은 AI칩
- KAIST 실시간 '혈관세포 관찰' 기술 개발
- 재난·화재현장 '촉각' 느끼는 기술 나왔다
- KAIST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발견
- KAIST 원하는 소재 생성하는 'AI 모퓨전' 개발
-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 분자스위치 발견
- 감정노동자 스트레스 'AI'로 실시간 감지한다
- 이중근 부영 회장 KAIST '명예박사' 학위
- 카이스트, 코로나 '급속 전파' 원인 규명
- KAIST '초경량·고강도' 나노구조 소재 개발
- KAIST 'PIM 반도체 성능' 11배↑ 기술개발
- 주소연 KAIST 박사 세계 학술지 부편집장 임명
- KAIST '3차원 양자얽힘' 구현 난제 해결하나
- KAIST 색변형 없는 컬러그래픽 기술 개발
- KAIST 스스로 가설 세우고 의심하는 AI개발
- KAIST '700%' 늘어나는 전자기판 개발
- KAIST '핫홀' 흐름 증폭 기술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