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가 다공성 소재 개발에 특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선보인다.
KAIST는 23일 김지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원하는 특징을 가진 금속 유기 골격체(MOF)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델 모퓨전(MOFFUSION)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모퓨전은 MOF 구조를 표현할 때 기존 모델이 사용하던 2D 방식이 아닌 3차원 모델링 기법을 도입해 공극 구조를 더욱 정확히 표현할 수 있다.
KAIST는 모퓨전을 통해 기존 모델에서 50% 미만이던 구조 생성 효율을 81.7%로 크게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모퓨전은 사용자가 숫자, 카테고리,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입력해 원하는 특징을 가진 소재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김지한 교수는 "원하는 물성의 소재를 개발하는 것은 소재 분야의 가장 큰 목표이며 오랜 연구 주제"라며 "앞으로 해당 분야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의 도입을 촉진하겠다"고 말했다.
강현택 기자
kanght4321@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