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알고리즘으로 자사상품 검색순위를 조작한 혐의를 받고 있는 쿠팡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13일 서울동부지검은 11일부터 이틀간 서울 송파구 쿠팡 본사를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자료 확보를 위해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
공정위원회는 쿠팡이 2019년 초부터 지난해 7월까지 알고리즘을 조작해 6만개 이상의 자사상품을 상위에 노출시키고, 임직원 2000여명이 최소 7만건의 긍정적 후기를 작성했다고 판단했다.
쿠팡의 조작행위가 소비자를 기만한다고 판단해 1682억원의 과징금과 시정명령을 내렸다. 특히 PB(자체 브랜드)자회사 CPLB를 통해 쿠팡은 특정 상품군에 집중된 혜택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0월 서울고등법원은 쿠팡이 제출한 행정소송과 관련해 과징금 집행정지는 기각됐지만 '일부 인용' 결정을 내려 알고리즘 사용은 허용했다.
이는 쿠팡 측이 집행정지를 통해 공정위의 명령 효력을 중지해 달라고 요청한 데 따른 결과였다.
쿠팡의 대표 PB 상품 '탐사수'가 대표적 사례로 지목됐다.
공정위에 따르면 탐사수는 2주 만에 검색순위가 100위 밖에서 1위로 올라서는 등 알고리즘 조작 혐의가 드러났다고 전했다. 또 자사상품 후기에 부정적인 내용이 올라가지 않도록 관리했다는 의혹도 포함됐다.
일각에선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법적 제재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손예림 기자
yelims930@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