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정거래위원회가 경쟁사 가맹 택시에 '불법 콜차단' 등 갑질을 한 카카오모빌리티에 역대 최고액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 세이프타임즈
▲ 카카오 모빌리티를 포함한 카카오 그룹이 여러 악재에 당면했다. ⓒ 세이프타임즈

창업자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의 보석으로 한숨 돌리는 듯했던 카카오가 검찰의 압수수색과 금융 당국의 중징계를 연달아 맞으며 위기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2부는 5일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를 받는 카카오 본사와 카카오모빌리티 사무실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총수 부재 사태를 간신히 넘겼지만 또 다른 사법 리스크가 추가됐다.

앞서 공정위는 지난달 2일 콜 몰아주기와 콜 차단 의혹과 관해 카카오모빌리티를 검찰에 고발하고 각각 271억2000만원, 724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공정위는 별도로 카카오모빌리티가 가맹 택시와 계약을 체결하며 자사 앱을 이용하지 않고 거둔 수입까지도 매출액에 포함해 수수료를 징수한 점을 문제 삼아 제재 절차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증건선물거래위에서 6일 카카오모빌리티 분식회계 혐의와 관해 최종 제재 수위가 결정된다.

잇단 개인정보 유출 사태 역시 카카오 그룹이 당면한 악재 중 하나다.

카카오는 5월 개인정보위로부터 오픈채팅방 개인정보를 유출한 문제로 151억원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