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 폭발 사고가 계속되면서 지난 9일 서울시가 90% 이상 충전 차량의 아파트 지하 주차장 진입을 금지하는 내용의 안전 대책을 발표했다. ⓒ 금산소방서
▲ 전기차 폭발 사고가 계속되면서 지난 9일 서울시가 90% 이상 충전 차량의 아파트 지하 주차장 진입을 금지하는 내용의 안전 대책을 발표했다. ⓒ 충남 금산소방서

인천 청라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벤츠 폭발 화재 이후 전국적으로 불안감이 확산되며 전기차 포비아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충전 시설, 주차장과 같은 전기차 산업 기본 인프라에 대한 기피 현상이 생겨나면서 전기차 시장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서울시는 배터리를 90% 이상 충전한 전기차의 아파트 지하주차장 진입을 제한하는 내용의 전기차 안전 대책을 지난 9일 발표했다.

다음 달까지 공동주택 관리 규약 준칙을 개정해 배터리 과충전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겠다는 방침이다.

경기교육청도 전기차충전소 설치 중단 계획을 발표했다.

임태희 경기교육감은 지난 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학생 안전에 대한 우려가 해소될 때까지 교내 전기차충전소 설치를 중단하겠다"며 지자체와 협의해 충전소 의무설치 유예기간을 연장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학교 등 50대 이상 주차 가능한 공중이용시설은 주차 공간의 최대 5%에 전기차충전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내년 1월 이후부터는 이행강제금을 내야 하지만 유예기간을 연장하는 방안을 도출하겠다는 것이다.

공공기관과 기업들도 전기차 충전 시설을 지하에서 지상으로 옮기며 안전 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민간에선 더 극단적인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경기 안양의 한 아파트에선 전기차 화재 책임을 지겠다는 내용의 각서를 쓴 경우만 지하 주차장 이용을 허용하는 등 기피 사례가 알려졌다.

서울 마포구의 한 주차시설은 전기차 출입을 전면 금지시켰다. 전기차 차주들은 "국가가 나서서 지원하길래 산 차인데 죄인이 된 것 같다"며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한편 메르세데스 벤츠 코리아는 지난 1일 인천 청라 지하 주차장 화재로 피해를 본 아파트 주민들에게 조건 없이 45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이 아직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지만 이와 상관없이 주민들을 돕겠다는 입장이다.

벤츠 코리아 관계자는 "지원금은 피해 복구와 주민 생활 정상화에 사용될 것"이라며 "화재 원인이 밝혀져 책임을 져야 한다면 기부와 별도로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