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 청라에서 폭발한 벤츠EQE350의 배터리가 중국 파라시스 제품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내 운행 전기차 58종 가운데 23개 모델이 중국산을 사용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산 비중을 수입 전기차로 한정하면 50%에 달하면서 배터리 제조사 공개 등 제도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9일 자동차·배터리 제조업계 등에 따르면 중국은 2018년부터 배터리 이력 추적 플랫폼을 구축, 배터리 제조사와 구성 성분 등의 정보를 소비자에게 공개하고 있다.
유럽에선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2026년부터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하며 미국도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배터리 정보 공개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배터리 업계에선 전기차 포비아 방지를 위해서라도 차량용 배터리 이력 추적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오는 12일 최근 잇따르는 전기차 화재 사고 관련 긴급회의를 열고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날 배터리 제조사 공개와 보조금 차등 지급 등을 논의해 이르면 다음 달 초 전기차 화재 종합대책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전기차 구매보조금을 배터리 관리시스템 정보 공개 모델에 더 주거나 화재 안정성이 미흡한 배터리 장착 모델에 제한하는 등 차등 지급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손해보험회사들도 자동차보험 대물 한도 상한을 10억원에서 20억원으로 조정하려는 등 예상치 못한 사고에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한 배터리 업계 전문가는 "전기차 화재 가능성은 극히 미미하지만 한 번 발생하면 100% 사망"이라며 "안전을 위해선 수많은 검증을 거친 제품이 필요한데 중국산이 그런 과정을 거쳤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증가세 둔화에 잇단 화재 … 악재 겹친 K배터리 시장
- 중국산 벤츠 … 이번엔 SK온 탑재 KIA 까지 '세이프 포비아'
- 벤츠 전기차 '폭발' 아파트 주차장 초토화 … 재난상태 '방불'
- 또 '리튬 밧데리' … 기아EV6 화재로 운전자 사망
- [아리셀 참사] '리튬 배터리' 안이한 대처에 화마 불렀다
- 존 리 한국우주청 본부장 '미국대리인 등록' … "보안상 우려 불가피"
- 인천 전기차 화재 … "부실한 안전정책 결과"
- 인천 전기차 화재 '스프링클러' 차단해 피해 키웠다
- [전기차 포비아] 서울시 "90% 이상 충전땐 지하 진입 금지"
- 전기차 대책 마련 정부 각 부처 간 이견으로 난항
- 전기차 배터리 공개 의무화 법안 나왔다
- 전기차 배터리 공개 중국산 비율 35% … 전수공개·무상점검 추진
- 벤츠 "배터리 제조사 CATL로 설명" 논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