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월성원전 인근 포항 등 전국 21곳 해역에 6억원을 들여 설치한 해수방사능감시기가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23일 의원실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이정헌 의원은 지난 6월 22일에 발생한 월성원전 4호기 사용후핵연료저장조(SFB) 냉각수 누설 이후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늑장 대응과 무용지물인 해수방사능감시기의 현실태를 두고 비판했다.
지난 22일 경주 월성원전 4호기에서 2톤이 넘는 저장수가 누설됐다. 원자력안전위원회 관계자는 "인근 4곳의 바닷물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대표적인 방사성 핵종인 세슘-137이 검출되지 않아 문제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원안위는 사건 발생 후 7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대응에 나섰으며 채취 지점 4곳 가운데 2곳은 주기적으로 분석하는 정밀·신속분석구간도 아니었다. 일정한 시료 채취를 통해 데이터를 누적해 온 곳이 아니기 때문에 방사능 수치 변화 확인이 어렵다.
이 의원은 "방사능에 노출된 냉각수가 바다로 누설되는 대참사가 벌어졌는데 사건 발생 7시간이 지나고 대응에 나선 원안위에게 대한민국의 안전을 맡길 수 있는지 심히 의문"이라며 "원자력발전소 사고와 고장 시 대응 매뉴얼의 전면 재검토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원안위는 기존 장비보다 최소 검출 가능 농도가 100배 이상 높은 장비를 검사에 사용했다. 이미 넓은 바다로 누설된 냉각수를 감지하기에는 "애초부터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원자력 기관 관계자는 "미세먼지를 측정하기 위해서 30㎝ 자로 재고나서는 측정이 안 되니까 공기가 깨끗하다고 얘기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미세농도 세슘의 측정이 불가능함에도 인체에 유해한 세슘 수치가 나오지 않아 안전하다는 원안위의 답변은 국민을 우롱한 것과 다름이 없다"며 "원안위는 세세한 분석과 조사를 통해 모든 결과를 투명하게 밝히고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