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과 국가기술표준원은 여름 휴가철을 맞아 물놀이용품 안전사고 발생에 주의를 당부했다.
18일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접수된 물놀이용품 안전사고는 290건으로 2020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90건의 물놀이용품 안전사고 가운데 서프보드 안전사고가 182건으로 전체의 62.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수상스키는 58건(20%), 물안경과 오리발 사고는 16건(5.5%), 구명튜브는 11건(3.8%) 등의 순이다.
서프보드와 수상스키 등 활동적인 물놀이용품 관련 안전사고는 20~30대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물안경과 구명튜브 등 안전한 물놀이를 위해 사용하는 용품 관련 안전사고는 10대 이하에서 많이 발생했다.
안전사고 발생 유형 분석 결과는 물놀이 중 물놀이용품에 부딪치는 등 물리적 충격에 의한 사고가 189건(66.5%)으로 가장 많았다. 수상스키 등을 타다가 미끄러지거나 추락하는 사고가 51건(18%)으로 다음 순이다.
또한 물안경 고무줄이 튕겨 안구에 손상을 입거나 스노클링 마스크 누수로 물이 차는 사례, 팔튜브(암링자켓) 잘못 착용 등의 안전사고 신고 사례도 있었다.
소비자원과 국표원은 여름철 안전한 물놀이를 위한 예방법으로 △암링자켓 착용 방향 확인 △서프보드 주변 부딪침 주의 △수경·스노클링 마스크 착용 주의 △스노클링 시 다이빙 금지 △구명조끼·튜브 공기 상태 확인 등을 당부했다.
소비자원과 국표원 관계자는 "여름철 물놀이용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물놀이 시 안전 주의사항과 물놀이용품 안전사용 수칙을 담은 홍보 포스터를 제작·배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