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그룹은 집중호우 등 각종 재난 피해 지역에 신속하고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상시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신한금융의 상시 대응 체계는 상황 파악, 지원 규모 협의와 결정, 지원 실행, 지원 내용 전파 순으로 피해 지역에 금융과 비금융 지원을 하겠다고 15일 밝혔다.
신한금융은 재난 피해 지역과 금융지원 방법, 규모에 대한 사전 협의를 완료했다. 신한은행의 금융지원은 △긴급생활안정자금 지원 △기존 대출 만기 연장과 분할상환유예, 신한카드는 △카드결제대금 청구유예, 신한라이프는 △보험료 납입유예와 분할납부 등이다.
신한금융은 비정부 기구(NGO) 단체에 대한 기부와 전국 영업망을 갖고 있는 은행의 각 지역본부를 활용한 피해 지원 방법의 비금융 지원 제도도 마련했다.
재난이 발생하면 은행 지역본부는 지방자치단체와 지원 사항을 사전 협의하고 대한적십자사에 지원 여부와 품목을 확인하면 지자체의 직접 신청으로 대한적십자사가 구호 물품을 지자체에 직접 전달한다.
신한금융은 지급된 물품 수량에 맞춰 기부금을 후원한다. 상기 구호 물품 외 타 품목 요청 시 본부별 1억원의 한도로 관련 경비를 선집행 할 수 있다.
신한금융은 재난 발생에 따른 최초 지원 이후 1개월·1년 경과 때마다 해당 지역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상황 안정 정도에 따른 추가 지원과 임직원 봉사활동 등 단계별 지원을 이행할 계획이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수해 등 예상치 못한 재난으로 인해 매년 큰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해 현장에 필요한 지원 방법을 모색해 왔다"며 "실질적 도움을 통해 재난 피해 지역의 주민들이 빠르게 일상에 복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행안부, 여름철 안전한 물놀이 위한 '수상안전대책 점검회의' 개최
- 국토부-노동부, 장마철 대비 건설현장 합동점검 … "붕괴·침수 유의"
- 안전보건공단-교육시설안전원 '교육·연구시설 사고예방' 위해 힘 모은다
- '리튬화재' 계기로 민·관 합동 '대규모 재난 위험요소 개선 TF' 운영
- "안전기준 미비·사후약방문·보신주의 대형재난 부른다"
- [종합] 한반도 덮친 극한 폭우 … 6명 사망·2명 실종
- 행안부, 호우 침수 피해 지역에 '가전제품 무상수리'
- 신한은행-한경대 '청년 장애인' 취업 업무 협약 체결
- 신한은행 분당서울대병원과 '유산기부' 체결
- 신한은행 '금융권 최초' 내부통제 책무구조도 도입
- 신한은행, 폭설 피해고객 금융지원 강화 프로그램 가동
- 신한라이프빛나는재단 '취약계층 아동' 후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