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수도권매립지를 찾으려는 세 번째 시도가 무산됐다.
환경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등은 수도권 대체매립지 3차 공모를 진행한 결과 응모한 지방자치단체가 없었다고 25일 밝혔다.
수도권 3개 자치단체는 공동 보도자료를 내고 "인센티브를 재검토해 4차 공모를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조건을 낮추고 인센티브를 늘려도 새 매립지를 구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3차 공모에서 법정 지원금 외 특별 지원금을 기존 2500억원에서 3000억원으로 늘리고 최소 부지 면적 기준도 기존 130만㎡에서 90만㎡로 줄였지만 지방자치단체의 공모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공모 관련 설명회에는 41개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했지만 응모 조건인 후보지 경계에서 2㎞ 내 주민등록상 세대주 50% 이상의 동의를 받는 등 실질적인 절차에 나선 지방자치단체는 없었다.
환경부와 3개 시·도는 4차 공모에서 주민 50% 동의 등 일부 조건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가동하고 있는 수도권매립지는 인천 서구에 있다.
인천은 수도권매립지 제3-1매립장이 포화하는 2025년 현 매립지 사용을 종료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때 공약한 국무총리실에 수도권매립지 전담 기구 설치라도 조속히 이행해야 한다는 여론이 인천에서 높아지고 있다.
수도권매립지 문제 해결 범시민운동본부 관계자는 "윤석열 대통령은 쓰레기 매립지 현안을 총리실에 맡겨 대체 매립지를 확보하겠다고 공약했다"며 "전담 기구를 중심으로 중재에 나서고 인센티브 확대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