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불법 공매도 적발을 위해 칼을 빼들었다. ⓒ 금감원
▲ 금융감독원이 불법 공매도 적발을 위해 칼을 빼들었다. ⓒ 금감원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파두 뻥튀기 상장 논란과 같은 부실 상장 방지를 위해 나선다.

금감원은 기업공개(IPO) 주관업무 제도개선 간담회를 열어 IPO 주관업무 개선방안을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그동안 주관사는 상장이 무산되면 기업으로부터 대가를 받을 수 없어 무리한 상장을 추진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금감원은 상장이 무산돼도 주관사가 기업으로부터 일한 만큼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주관사 책임 강화를 위해 기업실사 항목과 방법을 규정화하고 이를 충실히 이행하지 않는 주관사는 제재받게 된다.

또한 공모 주식의 가격결정 기준과 내부 검증 절차를 주관사 자체적으로 마련하게 해 공모가 고평가로 인한 신뢰 하락을 방지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오는 3분기까지 규정 개정 등을 추진하고 4분기부터 주관사 실태점검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