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 산하 발전공기업들이 200개가 넘는 출자사·자회사를 만든 뒤 절반 이상에 대표이사로 모기업과 산업통상자원부 출신 '낙하산'을 앉힌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한무경 의원(국민의힘·비례)이 남동발전·남부발전·동서발전·서부발전·중부발전·한국수력원자력·지역난방공사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들 발전공기업 7곳이 출자하거나 직접 설립한 자회사는 209개다.
이 가운데 한전과 발전공기업 등 모기업과 산업부 출신이 대표로 있는 곳은 127곳(60.7%)에 달했다.
이들 출자사·자회사는 대부분 모기업인 발전공기업들과 수의계약을 통해 일감을 나눠 먹고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특히 남동발전은 2017년부터 7년 동안 출자사·자회사와 51건의 계약을 맺었는데 모두 수의계약이었다.
중부발전(34건)과 남부발전(18건)도 출자사·자회사와 맺은 계약이 모두 수의계약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무경 의원은 "100% 경쟁입찰을 진행한 지역난방공사와 일부 계약 체결이 없는 기업을 제외하곤 수의계약 비율이 비상식적으로 높았다"며 "국민 세금으로 자회사를 만들어 자기 식구들끼리 자리를 나눠먹고 배불리기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전과 발전공기업들은 적자 늪에 빠져있음에도 자회사 설립을 통한 제 식구 챙기기에 여념이 없다"며 "매년 지적되는 자회사 낙하산 문제를 근절해 발전공기업 재무구조 개선에 기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a98591530@safetimes.co.kr
관련기사
- 적자 한국전력 임원 연봉은 '1위'
- '만년 적자' 한전, 줄줄 새는 예산 이유 있었다
- 한전, 장애인 의무 고용 위반 '33억' 냈다
- 실수로 '102억원 과다청구'에 '중국산 드론'까지 … 논란의 한전
- 산업부 고위직 57명 관련기관 재취업 … "취업심사제도 유명무실"
- 한전·발전사, 해마다 반복되는 '태양광 겸직 비리'
- 발전소 위험 외주화는 진행 중 … 사상자 80%는 하청업체 소속
- 산업부, 전기차 재사용전지 안전성 검사제도 본격 시행
- 청주의료원 장례지도사 '일감 몰아주기' 의혹
- 한전 임직원 182명, 내부정보·가족명의 이용해 '태양광 돈잔치'
- 한전 AI산불 대응 시스템 전국 확대·수출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