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안심마을 보안관' 제도를 내년부터 모든 자치구로 확대한다고 21일 밝혔다.
시는 잇따르는 무차별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보안관 제도를 확대하고 귀갓길 동행 서비스 인력도 늘린다.
현재 15개 자치구에서 운영하고 있는 안심마을보안관 제도가 다음 달부터 연말까지 1인 가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관악구 신림동에 추가돼 16곳으로 늘어난다.
전직 경찰과 무도 유단자 등으로 구성된 2인 1조가 심야시간대 1인 가구 밀집 지역 등 동네 골목을 순찰한다.
귀갓길 동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심귀가스카우트' 서비스도 다음 달부터 8개 자치구에 36명이 추가 배치된다.
현재 25개 자치구에서 334명이 활동하고 있고 2인 1조로 밤 10시부터 새벽 1시 사이 귀갓길 동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내년부터는 안심이앱을 통한 100% 사전예약제가 진행된다.
또 시는 1인 가구와 점포에 '스마트 초인종'을 설치해 관제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그간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만 외부 상황을 볼 수 있게 해왔지만 오는 12월부터 자치구 CCTV 관제를 총괄하는 안심이 총괄센터에서 동시에 확인이 가능해진다.
안심이앱에는 안심경로 제공, 보호자가 사용자 위치 실시간 확인, 골목길·산책로 혼자 이용할 때 스마트폰 카메라 영상 안심이 총괄센터에 전송 등 서비스가 추가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긴급신고, 귀가모니터링, 안심귀가 택시, 안심귀가스카우트 예약 등 다양한 안전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안심이앱을 내려받아서 시민 누구나 적극 활용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서울시 '친환경 도시개발'에 본격 나선다
- 서울시 추석 앞두고 건설현장 '공사대금 체불' 특별점검
- 서울시, 발빠짐 위험 지하철역에 '자동 발판' 설치
- 서울시, 개학맞이 '어린이보호구역 불법주정차' 집중단속
- 서울시 750억 투입 '도시형 소공인 사회안전망' 구축한다
- 서울시, 안전·나눔·물가관리 등 '추석 5대 종합대책' 마련
- 오세훈 서울시장 '제1회 서울 스마트도시 상' 시상식 참석
- 오세훈 서울시장, 뉴질랜드 웰링턴과 '친선도시 격상' 협약
-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 1250→1400원 오른다
- 서울시 '지능형 인파감지 시스템' 구축 … 제2의 이태원 참사 막는다
- 강동서 고덕파출소, 청소년 보호 위한 민경 야간합동순찰 전개
- CCTV없는 외진 길도 지켜주는 '안심이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