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민선8기 '100조원 이상 투자유치' 목표 달성위해 총력전에 들어간다고 21일 밝혔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판교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관련 실국장, 산하 공공기관, 산업계 전문가, 지역 내 투자기업 등 투자유치 주역들과 민간 투자유치 100조 이상 달성을 위한 도의 실천 전략을 논의하는 '투자유치 100조+ 전략회의'를 열었다.
이 토론회는 100조원 이상의 투자유치를 달성하기 위한 도 실국과 공공기관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미래 투자유치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회의에는 김승록 에어프로덕츠 CEO, 송창학 포레시아 코리아 전무, 배지수 지놈앤컴퍼니 대표이사, 로버트 랭 주한 캐나다 상공회의소 이사회 회장, 이병락 경기도외국인투자기업협의회장 등 투자기업 대표들이 참석했다
또 이창한 한국반도체산업협회 고문, 김외철 한국인공지능협회 상근부회장, 손지호 한국바이오협회 상무, 조영훈 한국로봇협회 부회장 등 산업전문가, 강성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 차석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장, 유동준 경기테크노파크 원장 등 공공기관 대표들이 참석했다.
민선8기 도에 따르면 △글로벌기업 유치 30조 △연구개발과 클러스터 유치 58조 △테크노밸리 등 조성 유치 37조 등 125조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겠다는 목표다.
도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존 글로벌기업 유치, 외자 유치 중심의 투자유치 전략을 △국내외 기업 전방위 유치 △혁신 산업 분야 기획부터 육성까지 전 과정을 종합 지원하는 투자유치로 더 확대한다.
구체적으로 도시주택실과 경기주택도시공사(GH)는 사업 구상 단계부터 투자유치를 염두에 두고 개발계획을 진행하게 된다.
산업단지·테크노밸리·공업지역 조성 후에는 경제투자실과 미래성장산업국은 물론 관련 산업 육성과 지원 부서, 유관 공공기관 등이 모두 참여해 복합클러스터를 유치한다.
경기도는 민선8기 출범 1년만에 외자에서만 10조원의 투자유치에 성공하며 김동연 지사 역시 '돈 버는 도지사'의 면모를 발휘했다.
특히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1~4위 반도체 장비 기업의 미래기술 연구소를 모두 지역 내에 유치하고 반도체 공급망 안정을 위한 유수 기업을 유치하는 등 지역 내 반도체 메가 벨트 마련을 위한 기반을 닦아 왔다.
김동연 지사는 "남은 임기동안 최소한 100조 이상 가능하면 더 많은 투자유치를 통해 경제 활성화를 하고 일자리를 만들어 고른 기회나 더 나은 기회를 위한 인프라를 깔도록 했으면 좋겠다"며 "100조 이상 투자유치를 위해 경제주체들이 힘을 합쳤으면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경기도 '김포 골드라인' 혼잡도 191%로 개선
- 경기도, 집중호우 등 재해 대비 임도시설 202곳 현장점검
- 김동연 경기지사, 도시환경위원과 간담회 "도 발전 위해 최선"
- 경기도, 여름철 자연재난 대비 도로명판 등 안전점검
- 김동연 경기지사, 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과 '예술인 기회소득' 간담회
- 김동연 경기지사, 수원서 도민 맞손토크 … 참가자 1400명 모집
- 경기도, 공공건축물 '에너지 사용실태' 전수 조사한다
- 김동연 경기지사 "팹리스 집적단지 조성해 반도체 경쟁력 확보"
- 김동연 경기지사, 인도·아세안 '신남방시장' 판로 개척
- 김동연 경기지사 "집중호우·폭염 대비 만반의 준비 해달라"
- 경기도, 우기 대비 택지·공공주택지구 점검 … 지적사항만 100건
- 경제노동위 만난 김동연 지사 "새로운 마음으로 협력"
- 김동연 경기지사, 라트비아와 경제협력 업무협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