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가 지하철역 미세먼지 감소를 목표로 200억원을 투입해 설치한 공기청정기 일부가 성능 미달인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소영철 의원(국민의힘·마포)이 서울시 감사위원회로부터 받은 감사 자료에 따르면 공기청정기 3개 업체의 제품 가운데 각 2개씩 진행한 표본 조사 결과 청정기 성능 기준이 미달인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청정기의 미세먼지 제거 성능은 업체들이 명시한 성능의 70% 수준에 그쳤다.
A사의 청정기는 분당 20.5㎥의 미세먼지를 제거한다고 돼 있지만 실제로 분당 12.6㎥정도만 제거됐다.
B사 제품도 표기된 성능인 22.43㎥의 절반이 조금 넘는 15.1㎥의 미세먼지만 제거했다. C사 청정기는 분당 26.5㎥로 표시됐지만 실제 19.3㎥의 미세먼지만 제거했다.
풍량 성능도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기준 성능은 분당 20㎥ 이상으로 돼 있지만 A사는 10.9㎥, B사는 14.7㎥, C사는 19.1㎥ 였다.
필터 교체 후 진행된 미세먼지 성능 제거 시험에선 B사 제품만 성능 미달이었다. 해당 제품은 분당 15.2㎥의 미세먼지 제거, 풍량 성능도 분당 14.3㎥에 머물렀다.
B사는 제품에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도 표시하지 않았다.
서울교통공사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미세먼지 저감 대책의 일환으로 2019~2020년 200억원을 들여 지하철 1~9호선 승강장 289곳에 공기청정기 4698대를 설치했다. 한 대당 460만원 정도를 들인 셈이다.
하지만 그동안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많았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선교 의원(국민의힘·경기여주양평)이 지난해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받은 지하철역 공기질 측정 결과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를 본격적으로 가동한 2021년 미세먼지 수치가 2020년에 비해 오히려 0.2㎍/㎥ 높았다.
감사위원회 관계자는 "입찰 공고 당시 소비전력이 300와트 이하라고 명시했지만 B사 청정기는 소비전력이 327.3와트"라고 지적했다.
이어 "공기청정기들의 성능 보완 방안을 세우고 각 역의 상황에 맞는 필터 교체 주기를 정해야 한다"며 "입찰 과정이 투명했는지 관련 직원들을 징계 조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