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가 승강장 발빠짐 사고를 막기위해 '자동안전발판'을 시범운영한다.
시는 시청역 등 5개 역 25곳에 자동안전발판을 시범 설치하고 7일부터 순차적으로 영업 시운전을 개시한다.
자동안전발판은 열차진입 센서, 정위치센서와 '승강장안전문'과의 연동을 통해 열차가 승강장에 정위치 정차한 것이 확인되면 전동모터의 동력으로 '가동발판'이 상승해 승객의 안전한 탑승을 돕는다.
승강장 안전문과 열차 출입문이 열리기 전에 상승하고 승객이 모두 탑승해 출입문이 닫히면 센서로 잔류 승객이 없는 것을 검지한 후 하강한다.
열차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열차 움직임을 검지하는 열차감지유닛(TMU) 시스템을 도입했고 승객이 잔류하면 안전발판이 하강하지 않도록 승객을 검지하는 등 안전장치도 마련돼 있다.
특히 국제 안전 무결성 수준(SIL) 인증을 받은 제품을 설치하고 승강장 안전문과의 연동 기능 등을 통해 안전성을 강화했다.
공사는 시범운영 기간에 오작동 여부와 시스템 정상 연동 여부 등을 확인하고 외부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안전성이 최종 검증되면 자동안전발판 확대 설치를 추진한다.
김성렬 서울교통공사 기술본부장은 "자동안전발판은 발빠짐 사고를 상당수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시범운영을 통해 안전성을 면밀히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김지형 서울시 도시철도과장은 "자동안전발판 시범 설치·운영을 통해 교통약자의 지하철 이용 편의를 증진하고 지하철 이용객의 안전을 보다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덕호 기자
dhk1909@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