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대 교수협의회와 교수노조 한신대 지회는 22일 대학 장공관 앞에서 "윤석열 정부는 매국적 강제동원 해법 추진을 즉각 중단하고, 분노하는 국민에게 석고대죄하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교수들은 돌아가며 낭독한 성명서를 통해 "윤석열 정부의 망동으로 발생할 모든 역사 왜곡에 반대한다"며 "21세기에 걸맞는 민주적이고 평화지향적인 한·일관계를 진취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해 앞장서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제3자 변제 방안을 두고 "대법원의 판결을 정면으로 짓밟은 결정"이라며 "사법부 판결을 행정부가 뒤집는, 삼권분립이라는 민주주의 기본 원리를 무시한 반헌법적인 도발이자 일본의 우익정부가 주장해 온 '청구권 없음'이라는 기준에 철저히 맞추었다는 점에서 충격적"이라고 비판했다.
한·일정상회담 기간 윤 대통령의 망언과 무책임한 발언도 강도높게 비판했다.
교수들은 "강제동원의 역사를 부정하는 기시다 총리가 '옛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라는 근본도 없는 용어를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옆에서 승인해준 윤 대통령의 모습은 과연 그가 어느 나라 대통령이고, 누구의 이익을 대변해주는 사람인지 그 본질을 잘 보여줬다"고 목청을 높였다.
한국어로는 '김대중-오구치 선언'을 계승한다고 했지만, 일본어로는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계승한다고 한 외교적 속임수도 비판했다.
교수들은 "계승될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이란 식민지배의 역사에 대해 사죄할 필요가 없으며 다시는 사죄하지 않겠다는 아베 신조의 역사인식으로 귀결된다"고 주장했다.
일본 총리와 한국 대통령이 공유한다는 '보편적 가치'는 세계를 위기로 몰고 가는 반평화, 반민주주의의 궤변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윤 대통령이 성과라며 강조한 한·일 군사협력과 한미일동맹 강화는 "우리의 생명과 안전을 더욱 심각한 위험으로 몰고 가는 가장 위험천만한 전쟁놀음의 전조"라고 비판했다.
또 "식민지 강제동원 문제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매국적이고 망국적인 해법 제시와 굴욕적인 대일외교는 씻을 수 없는 역사의 오점이 될 것"이라며 "민주주의와 평화, 진리를 사랑하는 한신대 교수들은 윤석열 정부에게 매국적이고 망국적인 강제동원 해법 추진을 즉각 중단하고 국민 앞에 석고대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이러한 요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전국민과 함께 일본 우익정권의 매국적 하수인으로 전락한 윤석열 정부의 퇴진을 위해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