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지역맞춤형 연구개발사업 6개를 선정하고 올해부터 2년간 136억원(행안부 109억원·지자체 27억원) 지원에 나선다.
11일 행안부에 따르면 지역맞춤형 연구개발사업은 지자체 주도로 지역 내 산·학·연과 협업해 발굴한 우수 과제를 지원하는 것으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23개 사업을 발굴·지원했다.
올해 선정된 사업을 살펴보면 충청북도는 등산객들의 조난·실족사고 등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드론이 일정 시간마다 정해진 위치를 순찰하는 감지 시스템을 개발한다.
전남도는 해양경찰이 도서지역에서 내륙으로 환자를 이송할 때 전문의료인의 자문을 받을 수 있는 원격 의료 지도 시스템을 고도화한다.
대구시는 '수돗물 사고 예방·대응 공조를 위한 사용자용 수질관리 플랫폼', 전북도는 '승용 전기차 화재 진압을 위한 수조 컨테이너·크레인을 구비한 전문 진압 장비', 경북도는 '재난안전 심리회복 서비스 플랫폼', 제주특별자치도는 '화산섬 제주의 지능형 풍수해 감지·안전지원 기술'을 개발한다.
행안부는 6개의 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할 연구기관 선정을 위해 '산업기술연구개발(R&D)정보포털'에서 이달 중 공고를 낼 예정이다.
고광완 행안부 재난협력정책관은 "앞으로도 재난 대응 일선의 문제해결을 최우선으로 이에 필요한 연구개발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소연 기자
safekim@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