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청년전태일과 전국특성화고졸업생노동조합 등은 9일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노동자 산재 사망과 관련해 '위험의 외주화'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이날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에서 두 달 동안 2건의 사고가 났고 노동자 4명이 사망했다"며 "개인의 실수가 아니라 구조적 죽음"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8일 포스코에서 발생한 하청 노동자 A(35)씨 사망 사고에 대해 "현장 하청 노동자들은 위험을 확인해도 작업을 거부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위험의 외주화와 노동자 불법 파견이 결국 산재 사망을 반복되게 한 원인"이라며 "정부는 특별근로감독 위반사항을 점검하고 법원이 포스코에 명령한 불법 파견자 직접 고용을 이행하게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구조적인 죽음을 내버려 둔 최정우 회장을 즉각 구속수사하고 중대재해처벌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포스코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서 산재로 사망한 하청업체 노동자는 10명에 달한다.
김종민 청년전태일 대표는 "최정우 회장이 손을 놓고 있는 사이 아무것도 개선되지 않고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사망했다"며 "다시는 제철소에서 노동자가 죽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 세이프타임즈
안소현 기자
julie040844@gmail.com
관련기사
- "경영활동 최우선 안전" … 말로만 하는 '포스코 안전'
- 포스코 포항제철소 협력업체 직원 사고로 사망
- 포스코 '안전사고 예방' 1조원 추가 투자 … 안전기술대학 설립
- 포스코 광양제철소 폭발사고 3명 '참변'
- 포스코 포항제철소 안전보건 국제인증 ISO 45001 획득
- 포스코 광양제철소 폭발 추정 화재 발생
- 코웨이 코닥·코디노조 "최저임금도 못버는데 수수료 깎는다"
- 건설안전학회 25일 '중대재해 처벌법' 토론 세미나개최
- '산업재해' 시정될까 … 최정우 포스코 회장 연임 성공
- 포스코 포항제철소, 자체 소방구조시설 추가 운영
- 현대건설기계 하청노조 "불법파견 해결하라" … 옥상농성 재개
- 국민권익위, 직업계고 현장실습 문제점 개선한다
- '56년 무분규' 한일시멘트노조 사측에 임금협상 전권 위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