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약용작물 분야 연구기관과 표준 품종 개발, 원료생산의 표준화 등을 논의하기 위한 워크숍이 개최됐다.
6일 농진청에 따르면 워크숍에 약용작물 분야의 효율적인 연구 진행을 위해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도 농업기술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약용작물종자보급센터 등 50여명의 전문가가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코로나19와 나고야의정서 등 국제 환경 변화에 따라 해외원료 확보가 어려운 약용작물을 조기에 육성하고 보급하기 위한 전략을 협의했다.
전국 13곳의 표준 품종 담당자는 각 기관의 약용작물 품종 개발 연구 현황을 발표했다. 경남 '강황', 경북 '백지', 전남 '곽향', 전북 '엉겅퀴' 등 여러 지역은 28작목에 대해 생산성과 지역 적응성 검정을 통해 품종을 개발하고 있다.
이어 올해 종자 보급 추진 실적을 공유하고 내년 보급할 종자 품목을 논의했다.
장재기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장은 "약용작물 연구 활성화 온라인 워크숍은 코로나19 이후 건강과 면역 등이 중요시되는 시점에 약용작물 산업발전 방향을 재점검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 과장은 "농진청은 지역 연구기관과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유지해 국내 약용작물의 연구가 한층 강화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세이프타임즈
전만기 기자
mgjeon01@gmail.com
관련기사
- 약용작물 제때 수확 빨리 말려야 품질좋다
- 보약의 대명사 '지황' 효능 알고 이용하세요
- 궁합 맞는 약초술과 독이 되는 약초술은 ?
- 농진청 "근육·뼈 건강 걱정된다면 '오미자' 드세요"
- 면역력 높이는 '천궁' 연작 장해 원인 규명했다
- '노랑느타리버섯·닥나무' 추출물 피부노화 막는다
- 관절과 간 건강 '황기·지치'로 얻는다
- 한약재 '지황' 부패 막는 신기술 … 소화도 잘 됐다
- 농진청, 떨어진 입맛에 '율무밥·마죽' 추천
- 자외선에 손상된 피부 … '열처리 된 황기'가 막는다
- 농촌진흥청 "인삼ㆍ삼백초 환경호르몬 독성 완화 효과"
- 농진청 '소멸위기' 약용작물 해결 스마트 팜 연구 스타트
- 농진청 생산성 높고 유효성분 많은 지황 신품종 '한방애' 개발
- '우슬·천궁·삼백초' 봄철 건강에 좋은 이유는
- 천연물질 처리 고기능성 참나물 생산 가능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