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소방본부(본부장 허석곤)는 아파트 화재로 인해 사망 또는 부상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자 관계부처 합동으로 피난안전 개정매뉴얼을 적극 홍보하고자, 철거예정 4층 건물을 활용 실제 화재현장을 구현, 매뉴얼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화재로 인한 대피 시 현관문을 닫은 경우 화재세대인 2층 세대는 전소했으나 연기 분출이 없어 3 ․ 4층에서는 실내로의 연기유입은 관찰되지 않았고, 현관문을 열어둔 채 대피한 경우 연기가 외부로 급속하게 유출되면서 옥상으로 상승했다. 이때 3 ․ 4층 현관문이 닫혀있으면 내부로 연기가 들어오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허석곤 본부장은"시민들께서는 개정된 아파트화재 피난매뉴얼을 반드시 숙지하시어 화재 시 무리한 피난으로 인해 귀중한 인명피해가 발생하기 않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 부산소방본부
▲ 정부가 연이은 화재 사고에 대비해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제3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안전·민생·생활 분야 개선 정책을 논의했다. ⓒ 부산소방본부

정부가 잇달아 발생한 화재 사고 대응에 나선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제3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관련 정책을 논의했다.

회의에선 △부산·광명 아파트 화재 재발 방지대책 △소방 R&D 강화방안 △중소기업 근로자 식사 지원 △불합리한 규제 개선 방안 등이 다뤄졌다.

정부는 최근 부산 아파트 화재로 4명의 아동이 사망한 사고를 계기로 단순한 안전시설 보강을 넘어 화재 예방 교육과 돌봄 강화까지 포함한 종합대책 마련을 검토했다.

정부는 △150만 세대에 단독경보형 감지기 보급 △3000개 초등학교 대상 안전교육 △마을돌봄시설 350곳 야간 운영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광명 주차장 화재 후속 조치도 추진된다. 필로티 구조의 공동주택 3만 동에 아크차단기를 비롯한 초기 대응 장비를 보급하고, 건축물 성능확인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정부는 소방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국방기술을 소방 현장에 적용하고 연구개발 예산을 확대한다. 내년도 소방 R&D 예산은 올해보다 64.9% 증가한 503억원으로 확정됐다.

정부는 근력강화 슈트 등 첨단 기술을 소방장비에 적용해 화재 대응 효율을 높일 방침이다.

김민석 총리는 "정책의 결과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어야 한다"며 "현장에서 실질적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