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전 SPL 사망 사고 대책 재탕 … 근본대책 마련돼야

▲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를 비롯한 공동행동 관계자들이 2일 SPC 본사 앞에서 허영인 회장 등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민주노동당
▲ 지난 2일 파리바게뜨 노동자 힘내라 공동행동이 SPC 본사 앞에서  책임자 처벌과 근본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민주노동당

SPC 경영진이 국회 사과에 이어 안전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후속조치를 내놨다. 하지만 노동계는 '말잔치 수준'이라며 근본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3일 SPC삼립 홈페이지를 보면 안전개선 계획을 통해 노사안전협의체를 구성하고 합동 안전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연속 근무를 줄이고 일부 라인에는 4조 3교대 시범 운영을 도입하겠다고도 했다.

하지만 노동계는 후속조치가 3년 전 SPC 제빵 계열사 SPL 사망 사고 이후 대책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다수노조가 회사의 소수노조 탄압에 활용된 사례 등을 고려하면 의미없는 대책에 그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지난 2일 SPC 노동조합과 600여개 시민사회단체 구성원들이 모인 '파리바게뜨 노동자 힘내라 공동행동'은 반복되는 중대재해를 막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책임자 처벌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공동행동은 그동안 주야(12시간) 맞교대인 2조 2교대제를 개선해달라고 수없이 요청했지만 무시됐다고 설명했다. SPC는 3년 전 SPL 사고 이후 계열사 노조와 인사·노무 부서가 참여하는 '근로환경TF'를 발족시켜 주야간 근무체계 개선 등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맞교대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고, 이번 사고도 3년 전 사고와 똑같이 야간근무 중에 발생했다.

공동행동은 "한국 노동환경에서 4조3교대가 운영된지 언제인데 이제와서 시범 운영을 운운하는가"고 비판했다.

SPC계열사 대부분에서 한국노총 소속 다수노조가 사업장 안전보건에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주장도 있다.

지난 2023년 샤니 공장 사망 사고 발생 이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회의원 현장 방문은 샤니 노조의 반대로 무산됐다. 그리고 SPL 노조 위원장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대표이사의 선처를 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이외에 SPC PB파트너즈 노조 위원장은 민주노총 소속 소수노조인 파리바게뜨지회 파괴 혐의의 공범으로 기소돼 허영인 에스피씨그룹 회장 등과 함께 재판을 받고 있다.

공동행동은 "SPC그룹은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고 진정 중대재해를 막고자 한다면, 산업재해 예방⋅대비⋅대응을 위한 국민검증위원회를 구성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